동양철학에서 본 인간해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21 06:37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에서 본 인간해방.hwp
그러므로 노자는 [큰 도가 없어지니 인이니 의니 하는 것들이 나타났고 지혜가 생기니 큰 거짓이 있게 되었다. 육친이 화목하지 못하고 나자 효나 자애 같은 것이 생겼고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충성스러운 신하가 나왔다]고였다. 장자는 [성인이 나타나서 어거지로 인을 만들고…(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동양철학에서본인간해방
동양철학에서본인간해방 , 동양철학에서 본 인간해방 인문사회레포트 ,
동양철학에서 본 인간해방
Download : 동양철학에서 본 인간해방.hwp( 98 )
순서
설명
다. 도가의 성격이 인의도덕을 강조하는 유가에 대한 대립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그 비난의 대상은 당연히 유가가 말하는 성인이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현실의 잘못된 이념들을 지적하여 비난한다.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착한 것을 보고 착하다고 여기지만 이것은 착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일 뿐이다]라고 하여 아름다움과 추악함·착함과 착하지 못함이 모두 상대적인 것임을 말하였다.
{도덕경} 첫머리는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참된 도가 아니며 이름 붙일 수 있는 이름은 참된 이름이 아니다]라는 말로 스타트한다.
이 점에서는 장자도 마찬가지이다. {도덕경}은 좀더 구체적으로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아름다운 것을 보고 아름답다고 여기지만 이것은 추악한 것이 있기 때문일 뿐이다. 이 말은 언표된 것들을 절대적인 것으로 보는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부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