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2 10:49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hwp
3. 그 종이는 중성지이다.
Download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hwp( 62 )
통사론첫번째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통사론첫번째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
순서
설명
동사구와 명사구의 내부적인 구조에 대한 논의와 부정문의 구조, 선문말(선어말) 형태와 문말 형태의 통사적 위치(문법관계), 복합문(보문과 접속절)에 관한 논의가 순서로 전개되어 있다 이것은 전통 문법적 문장 구조에서 초기 변형생성 문법의 문장구조와 엑스-바 이론(理論)을 끌어 당겨 새롭게 한국어의 문장을 논의하고 있다 문말 형태를 통사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부분과 보문자를 어말어미로 보는 견해는 새로운 부분이었다. 따…(To be continued )
1. 바람이 분다. 한국어에서는 NP가 VP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면 체언+계사 또는 형용사+계사의 형태가 그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논문에서는 동사구와 서술어구를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전통 문법적 구절 구조 규칙이 규정하고 있는 S→ NP(주어구) + VP(서술어구)를 부정하고 변형문법이 규정하고 있는 S → NP(명사구) + VP(동사구)를 택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주어나 목적어는 NP의 문장 구조 속의 위치에 따라 규정되어지기 때문에 NP는 명사구가 되고 VP는 당연히 동사구가 된다는 것이다.
5. 태선이는 통사론을 학사논문으로 정했다.
4. 태선이는 길에서 만원을 주웠다.
6. 애벌레가 나비가 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