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아동 特性(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9 07:16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아동 특성.hwp
2.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 특성(特性)
아동들의 모습은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상이한 특성(特性)으로 표현되었다.
1) 연령에 따른 아동특성(特性)
회화에 표현된 아동의 모습으로는 연령별 활동을 세분하기가 어려우나 그림장면을 고려하여보면 다음과 같은 특성(特性)이 나타났다. 전통사회 중 특히 현대와 가까운 조선시대의 회화작품에 나타난 아동들의 모습을 통하여 조선시대 아동들에 대한 이해와 아동들의 생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인문사회,레포트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아동 特性(특성)
다. 인구학적 변인으로 연령, 성, 계급에 따른 특성(特性)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아동 특성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아동 특성.hwp( 56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또한 민화(民畵) 중의 하나인 작가미상의 백동자도(百童子圖)》(analysisdata(자료): 95)에서는 자복(子福)의 상징으로 수많은 남아들이 즐겁게 여러 가지의 놀이하는 모습이 China식인 선동형(仙童型)으로 표현되었다(김철순, 1985; 조자룡, 1989).
조선시대의 덕목교육서로 간행되었던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의 고사(故事)를 회화로 표현한 그림 중 하나인 김홍도의《누백포호(婁伯捕虎)》(analysisdata(자료): 29)에서는 효심 있는 아들로 표현되기도 하였고, 작가미상의《맹모삼천도(孟母三遷圖)》(analysisdata(자료): 93) 등에서는 맹자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교훈서의 모범적 자녀상으로 표현되었다.
아직까지 아동 연구대상으로 별로 다루어지지 않은 조선시대 회화에서 묘사된 아동의 특성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전통사회에서의 아동에 대한 이해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전통사회 중 특히 현대와 가까운 조선시대의 회화작품에 나타난 아동들의 모습을 통하여 조선시대 아동들에 대한 이해와 아동들의 생활特性(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신한평의《젖먹이기》(analysisdata(자료): 7…(skip)
순서






아직까지 아동 연구대상으로 별로 다루어지지 않은 조선시대 회화에서 묘사된 아동의 特性(특성)을 分析 대상으로 하여 전통사회에서의 아동에 대한 이해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출생 전 임부(妊婦)의 모습은 그려지지 않아 태아기를 나타낸 그림은 없었으나 영아기 아동의 모습은 비교적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