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30 22:31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hwp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부문은 전체 의료공급의 약 16.7%만을 차지하고 있어 타 선진국들에 비해 현격히 낮다. 이에 공공보건의료 부문 역시 민영화, 민간위탁, 인력감축 등 대규모 구조조정을 요구받고 있어 공공부문의 존립 가능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6. 공공보건의료사업이 질병관리사업 중심으로 활성화돼야 하지만 정작 지역 거점 공공병원은 국가 차원에서 진행하는 질병관리사업에 배제돼 있따
7. 공공보건의료의 중요성에 비해 government 나 지자체의 무관심으로 공직의사들은 공공의료에 관심을 잃어가고 있으며, 공공의료의 불투명한 展望 등으로 지원을 꺼리고 있따
1) 공공보건의료 확대
2) 의료 인력의 역량강화와 우수인력 확보
3) 질병관리사업에서 배제돼 있는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적극적인 편입
Download :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hwp( 59 )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
사회과학,보건행정,공공부문,보건의료,발전,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 ,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 보건의료 발전
설명
[사회과학] [보건행정]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
다. 이러한 공공부문 보건의료의 와해는 영세민과 소외계층, 실업자들을 위기로 몰아넣는 상황이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方案)을 모색하…(skip)
1)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개념(槪念)
2)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現況
4. 교육부(국립대병원), 노동부(산재병원), 국가보훈처(보훈병원) 등 관계기관
5. 공공의료기관과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는 설립목적과 소관부처가 각기 달라 기관 간 연계체계가 부족하다.
순서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方案)
<목차>
Ⅰ. 서언
Ⅱ.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方案)
1.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개념(槪念) 및 現況1)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개념(槪念)
2)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現況
2.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problem(문제점)3. 공공부문의 보건의료 발전방안(方案)
Ⅲ. 결어Ⅰ. 서언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problem(문제점) 중에서 공공부문 보건의료의 취약은 그동안 가장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더욱이 공공보건의료기관의 활동goal(목표) 의 부재, 관리체계의 미비, 비전문적 경영, 관료화 등으로 인한 내부운영의 비효율화도 지속적으로 지적되어왔다. 또한 환자 진료의뢰, 회송 이외의 기관 간 연계를 통한 공공보건의료사업 발전이나 교육훈련, 진료정보의 제공, 기술지원에는 상호 관여하거나 기여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