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0 11:17
본문
Download :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설명하시오 (2).hwp
노출된 무수한 觀察(관찰) 대상 가운데 무엇을 선택적으로 觀察(관찰)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아동이 사회적 모델로 선택할 가능성이…(skip)
레포트/기타
설명
순서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설명하시오 ,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설명하시오 기타레포트 , 반두라 관찰학습 대해 설명하시오
반두라,관찰학습,대해,설명하시오,기타,레포트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
Download :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설명하시오 (2).hwp( 16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
다. 반두라의 觀察(관찰) 학습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목차
觀察(관찰) 학습의 단계
I. 주의단계
II. 보존단계
III. 운동재생단계
IV. 동기과정
bibliography
반두라의 觀察(관찰) 학습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觀察(관찰) 학습이란, 다른 사람의 행동을 觀察(관찰) 함으로써 학습하는 것으로, 대리학습, 사회학습, 모델링이라고도 부른다. 반두라는 觀察(관찰) 학습을 네 가지의 단계를 가진 과정으로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아
I. 주의단계(attentional processes)
주의단계는 觀察(관찰) 학습의 첫 단계로 모방할 행동에서 중요한 특징에 관심을 기울이고 정확하게 지각하기 위해 노력하다. 觀察(관찰) 자의 속성 . 모방된 행동의 속성 . 인간 상호작용의 구조상 배치 등이 觀察(관찰) 경험의 양과 유형을 결정한다. 이것은 강화이론(理論)에 그 토대를 두고 있다아 예를 들어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직접 강화를 받지 않더라도 다른 아동이 행동의 결과로 보상이나 벌을 받는 것을 觀察(관찰)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강화를 받기 때문에 보상받는 행동을 학습하게 되고, 벌을 받는 행동은 학습하지 않게 된다는 설명(explanatio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