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지정사 설정의(定義)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 지정사 설정의(定義) 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5 08:31
본문
Download : [인문]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hwp
‘이다’에 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모두 살펴보는 것은 크게 의미 있는 행동이 아닐 것이다. “조동사란 동사어미에 부(附) 야 언자(言者)의 의사를 각양형식으로 발표 는 자(者)이다.” 에서 밑줄친 부분은 모두 명사의 상태를 보이는 조동사라고 하였다. “이것이 문법책이 올시다. 이렇게 ‘이다’의 품사 분류에 관한 문제는 유길준의 조동사설을 출발점으로 하여, 종지사설, 조사설, 동격동사설, 지정사설 등 현재에 이르는 백여 년간 다양한 이론을 탄생시켰다. 그래서 학자들의 견해를 큰 기준으로 양분하여 ‘이다’를 독립적인 품사인 지정사(잡음씨)로 설정할 것을 주장하는 쪽과, 지...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유길준(1909)의...
[인문] 지정사 설정의(定義)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 지정사 설정의(定義) 찬
인문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 지정사 설정의 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Download : [인문]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hwp( 41 )
설명
지정사 설정의(定義)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유길준(1909)의...
![[인문]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117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7%80%EC%A0%95%EC%82%AC%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1172_01.gif)
![[인문]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117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7%80%EC%A0%95%EC%82%AC%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1172_02_.gif)
![[인문] 지정사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117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7%80%EC%A0%95%EC%82%AC%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1172_03_.gif)


다.”라고 하여 비록 조동사란 명칭은 사용하고 있지만 체언토로서의 ‘이다’를 지적한 것이다. ‘이다’의 문제가 문법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유길준에 의해서이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이다’는 서술격 조사로, ‘아니다’는 형용사로 설정되어 있지만 거기에 대한 반대 견해 도 무시할 수 없는 형편이다. 지정사 설정 논란의 출발 ‘이다’와 ‘아니다’의 품사 분류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끊임없이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국어학계의 문제 중에 하나이다.
지정사 설definition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유길준(1909)의 조동사설로 처음 된 ‘이다’의 품사 분류 문제는 현행 학교 문법에서 서술격 조사로 설정되어 있지만, 백여 년간 끊임없이 국어학자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는 사항이다. ‘이다’의 품사 분류에 대상으로하여는 조동사설, 종지사설, 지정사설, 조사설, 동격동사설 등 학자들마다 다양한 견해가 있는데 크게 나눠보면 ‘이다’를 하나의 독립 품사인 지정사로 보는 입장과 ‘이다’의 지정사 설정에 반대하며 현행 학교 문법의 서술격 조사설을 지지하는 입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 여기서는 잡음씨(지정사)을 정립한 최현배(1927)의 견해와 그에 대한 비판을, 각각 근거를 들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뎌 화상이 리순신이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