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이해 방식으로서의 자기 지시적 이야기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15:35
본문
Download : 현실 이해 방식으로서의 자기 지시적 이야기 실험 -헤르베르트 로젠도르퍼의 소설 폐.hwp
즉 본고는 헤르베르트 로젠도르퍼 Herbert Rosendorfer(1934년생)의 {폐허건축기사 Der Ruinenbaumeister}(1969)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IV. 이야기 experiment(실험)의 현실연관성
I. 들어가는 말
V. 절대적 실재현실의 부정을 통한 허구와 현실의 통합





Download : 현실 이해 방식으로서의 자기 지시적 이야기 실험 -헤르베르트 로젠도르퍼의 소설 폐.hwp( 27 )
III. {폐허건축기사}의 환상의 공간 구조
설명
사실주의적 소설의 현실은 기본적으로 유사현실이다.
현실 이해 방식으로서의 자기 지시적 이야기 실험
순서
현실이해방식 자기지시 이야기실험 / ()
현실이해방식 자기지시 이야기실험 / ()
다. 사실주의적 소설이 아닌 환상적 소설에도 유사현실은 있다 나아가 환상적 소설의 세계는 시간과 공간의 유희, 가상공간의 차원들의 유희로 전통적 concept(개념)인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해체하는 일을 해 왔지만 알레고리와 상징, 비유의 체계로 인해 사실주의적 소설의 세계 못지 않게 현실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설은 상상의 유희이기도 하지만 필터 장치를 통해 우리의 현실을 해석하고 이해하고 조작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시도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것이 현상의 세계에 감추어져 있는 본질을 인식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결국 환상은 결코 인식의 열등한 형태가 아니고 이성과 동급이라는 것이라는 주장이 타당하게 될 것이다. 환상적인 것의 무책임으로 떠나는 이 여행에의 초대는 보다 심오한 사실주의의 알리바이이며 황당무계한 이야기들은 가장 깨어 있게 하는 이야기들이라는 theory(이론)은 이런 맥락에 서 있다고 하겠다.
II. 로젠도르퍼와 {폐허건축기사}의 작품경향에 대하여
현실이해방식 자기지시 이야기실험
레포트 > 기타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본고는 한국에서 알려져 있지 않은 도이칠란트의 한 현대작가의 장편소설 하나에 주의를 기울여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