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1 10:19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두 가지.hwp
이에 반해 일반적 의미의 의문문, 즉 청자 의문문은 wh-의문사가 청자 의문 어미에 의해 결속된 구문임을 논증한다. 또한 이들 재귀 의문 어미들의 기능은 오로지 질문이 청자가 아니라 화자 자신에게 발화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임을 보인다. 이를 위해 재귀 의문문이 ‘-가/-나’와 같은 특별한 어미들에 의해 표시됨을 논증한다.





존재양화사 한국어의두가지 의문문 존재양화사 / (존재양화사)
설명
존재양화사 한국어의두가지 의문문 존재양화사
주제어: 재귀 의문문, 청자 의문문, 존재양화사, 결속
3. 존재양화사는 내포된 재귀 의문문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사
존재양화사 한국어의두가지 의문문 존재양화사 / (존재양화사)
1. 들어가는 말
순서
5. 결 론
4. 고대 日本 어의 근거 reference(자료)
Download : 한국어의 두 가지.hwp( 24 )
다. 필자는 화자가 청자가 아닌 자신으로부터 답을 구하는 특별한 유형의 의문문을 “재귀 의문문”이라 칭하고, 이의 존재를 먼저 논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존재양화사가 간접 의문문일 뿐 아니라, wh-의문사가 재귀 의문 어미에 의해 결속된 재귀 의문문임을 주장한다.
2. 두 가지 유형의 의문문
의문은 문장 유형의 하나로서 통사적 개념(槪念)인데 비해, 의미의 범주인 질문은 청자로부터 대답을 구하는 特性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