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그린에너지 5대 강국 도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0 16:40
본문
Download : 111118113316_.jpg
계획안에는 △에너지기술의 신성장동력화, 가속화 △공생발전 R&D 생태계 조성 △에너지 R&D 시스템 선진화 △에너지기술 산업화 인프라 4대 중점 추진戰略을 담았다. 특히 태양광·풍력 등 시장이 형성된 분야에서 R&D 역량이 우수한 중소·중견기업을 골라 맞춤형 R&D 지원에서부터 국내외 특허출원, 사업화 컨설팅, 기술·marketing 인력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레포트 > 기타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17일 제11차 본회의를 열어 2011부터 2020년 제2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을 심의, 의결했다.
설명
순서
2020년 그린에너지 5대 강국 도약
김동석기자 dskim@etnews.com
政府(정부)가 2020년까지 그린에너지산업 5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目標(목표)를 제시했다.
에너지기술 혁신을 통한 5대 그린에너지 산업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신재생에너지, 전력·원자력, 효율 향상·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개발 등 4대 분야 기술개발도 역점 사업이다. 태양광·스마트그리드 등 1차 계획을 통해 확보한 우수 원천기술은 후속 실증·상용화 R&D로 연계해 성과창출을 촉진하기로 했다.
2020년 그린에너지 5대 강국 도약
다. 저소득층 및 고령자용 에너지기술개발 과제는 1∼2년 단기,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이와 함께 중대형 R&D 과제에 중소·중견기업 참여를 의무화하고 에너지 중소·중견기업의 R&D 지원금 비중을 20%에서 50% 이상으로 늘릴 방침이다. 그린에너지 세계 시長點유율 10%, 에너지효율 12% 향상,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15% 감축을 통해서다.
Download : 111118113316_.jpg( 19 )
2020년 그린에너지 5대 강국 도약
: 지식경제부
<표> 에너지 기술개발 사업 소요예산 (단위: 억원)
지경부는 政府(정부) 18조2000억원, 민간 17조3000억원 등 모두 합쳐 35조50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수출 202조원, 내수 59조원 등 부가가치 261조원과 일자리 91만4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政府(정부)는 예산 35조5000억원을 마련하고 2020년에는 부가가치 261조원과 일자리 91만4000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2020년 그린에너지 5대 강국 도약
에너지기술을 신성장동력으로 만들기 위해 대형·상용화 연구개발이 추진된다 대중소 기업이 함께하는 컨소시엄이 차세대 태양전지 생산기술과 해상풍력발전시스템 등을 개발하면 과제당 연간 30억~100억원을 지원한다. 그린에너지 核心(핵심) 부품소재 국산화율을 2020년까지 85% 수준으로 제고하기 위해 부품소재 기술개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지원비율도 17.7%에서 25% 이상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