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 및 예방방법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6 09:47
본문
Download :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hwp
③ 홍역
(2)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1. 신생아기 건강문제 ① 미숙아(Premature infant) ② 선천성 기형(Congenital anomalies) ③ 선천성 대사질환 2. 영아기의 건강문제 ① 수유장애 ② 영아돌연사 증후군 ③ 설사와 탈수 ④ 폐렴 ⑤ 중이염 ⑥ 발열 3. 유아기 건강문제 (1) 전염성 질환 ① 수도 ② 풍진 ③ 홍역 ④ 백일 ⑤ 수족구 (2)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3) 천식(Asthma)
④ 백일
아동건강,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건강문제,예방방법
① 미숙아(Premature infant)
③ 설사와 탈수
⑥ 발열
(1) 전염성 질환
② 풍진
Download :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hwp( 35 )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 및 예방방법에 대해
① 수유장애
③ 선천성 대사질환
④ 폐렴
2. 영아기의 건강문제
① 수도
순서
⑤ 중이염
미숙아가 출산되는 원인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내에서는 재태주령으로는 22주 3일, 출생 체중으로는 430g의 미숙아가 출생하여 무사히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퇴원하였다. 최근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이거나 재태 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아기를 통칭하여 이른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다.통계청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6주 미만 출생아로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미숙아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약 2.6%를 차지하고, 대한신생아학회 조사통계위원회에서 2001년 1년 동안 전국 75개 병의원 108,485명의 출생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7주 미만의 미숙아는 8.4%를 차지하였다. 단, 낮은 사회경제적 여건, 산모 나이가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오랜 기간 서 있거나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다태아인 경우, 이전에 미숙아를 분만한 경우, 자궁기형이나 전치태반,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등의 산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이 높다.
미숙아의 경우, 피부가 투명하고 솜털이 별로 없고 생식기도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고 대체적으로 머리가 큰 데 비해 몸은 마르고 작다. 이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1000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는 65~83%의 생존율을,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에는 80~92%의 생존율을 보이고 있고, 최근에는 의료 시설 및 의료진의 치료 수준의 발전으로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곳도 많아졌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WB,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전체 톤(tone)도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설명
(3) 천식(Asthma)
1. 신생아기 건강문제
② 선천성 기형(Congenital anomalies)
① 미숙아(Premature infant)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9243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5%84%EB%8F%99%EA%B1%B4%EA%B0%95%5D%20%EC%8B%A0%EC%83%9D%EC%95%84%EA%B8%B0,%20%EC%98%81%EC%95%84%EA%B8%B0,%20%EC%9C%A0%EC%95%84-9243_01.jpg)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9243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5%84%EB%8F%99%EA%B1%B4%EA%B0%95%5D%20%EC%8B%A0%EC%83%9D%EC%95%84%EA%B8%B0,%20%EC%98%81%EC%95%84%EA%B8%B0,%20%EC%9C%A0%EC%95%84-9243_02_.jpg)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9243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5%84%EB%8F%99%EA%B1%B4%EA%B0%95%5D%20%EC%8B%A0%EC%83%9D%EC%95%84%EA%B8%B0,%20%EC%98%81%EC%95%84%EA%B8%B0,%20%EC%9C%A0%EC%95%84-9243_03_.jpg)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9243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5%84%EB%8F%99%EA%B1%B4%EA%B0%95%5D%20%EC%8B%A0%EC%83%9D%EC%95%84%EA%B8%B0,%20%EC%98%81%EC%95%84%EA%B8%B0,%20%EC%9C%A0%EC%95%84-9243_04_.jpg)
![[아동건강]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9243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5%84%EB%8F%99%EA%B1%B4%EA%B0%95%5D%20%EC%8B%A0%EC%83%9D%EC%95%84%EA%B8%B0,%20%EC%98%81%EC%95%84%EA%B8%B0,%20%EC%9C%A0%EC%95%84-9243_05_.jpg)
3. 유아기 건강문제
⑤ 수족구
② 영아돌연사 증후군
미숙아 증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