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의 기관1 - 노동조합의 기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5 21:24
본문
Download : 노동조합의기관1.hwp
이러한 기관의 구성?권한 등은 조합자치의 원칙상 노조의 자주적 의사에 따라 규정되지만 노조법은 조합 민주주의를 확립하기 위해 총회와 대의원회 및 임원에 관한 다수의 규정을 두고 있따
Ⅱ. 의결기관
노동조합의 최고의사결정기관으로서 총회와 대의원회가 있따
1. 총회
1) 개최시기
노동조합은 매년 1회 이상 총회를 개최하여야 한다. 그리고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총회의 의장이 된다된다. 한편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임시총회 …(투비컨티뉴드 )2) 소집절차
3) 의결사항
①규약의 제정과 변경 ②임원의 선거와 해임 ③단체협약 ④예산?결산 ⑤기금의 설치?관리 또는 처분 ⑥연합단체의 설립 가입 또는 탈퇴 ⑦합병?분할 또는 해산 ⑧조직형태의 변경에 관한 사항 ⑨기타 중요한 사항 이들 사항은 반드시 총회 또는 대의원회에서 결의하여야 하며, 다른 기관에 위임할 수 없다.노동조합의 기관1 - 노동조합의 기관
노동조합,기관,경영경제,레포트
노동조합의 기관1
레포트/경영경제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순서
설명
Download : 노동조합의기관1.hwp( 94 )
노동조합의 기관1 , 노동조합의 기관1 - 노동조합의 기관경영경제레포트 , 노동조합 기관
노동조합의 기관
Ⅰ. 서
1. 헌법상 단결권의 보장헌법 제33조 제1항에서는 근로자의 근로조건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을 보장함에 따라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설립하여 운영할 수 있따
2. 논의의 necessity need
노동조합이 단체로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 집행, 감사 등을 행하는 기관이 필요하다.4) 의결방법
Ⅲ. 집행기관
4. 노조전임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