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북한법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31 00:58
본문
Download : [A+] 북한법 이해.hwp
· 법학·법조인의 임무
-자본주의 법의 허구성과 반동성을 공격
-사회주의 법의 우월성 제고
· 법의 공백
-조리(條理) - 법의 공백이 있거나 법을 해석할 때 기준이 됨
- 혁명적 법의식, 인민의 이익, 사회주의적 도덕
- 市民들이 따라야 하는 규범을 법보다는 도덕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우선시함
-법과 도덕의 구별 모호 - 법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해석의 재량범위가 넓으며, 또한 무의미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도 있음.
-법의 융통성 - ex) 거주·여행의 자유, 김일성주석의 사망
3.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 - (* 헌법 제5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모든 국가기관들은 민주주의중앙집권제원칙에 의하여 조직되며 운영된다)
·…(투비컨티뉴드 )
1. 통치구조의 특이성
북한06
순서
설명
[A+] 북한법 이해
다.
Download : [A+] 북한법 이해.hwp( 87 )
북한의 범죄와 형벌
북한의 범죄와 형벌북한06 , [A+] 북한법 이해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 재판 규범으로서의 법
-법은 심판을 하는 사람들에게 기준을 제시하는 ‘재판규범’으로서의 성격과 일반市民들이 행동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행위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아 그러나 북한에서는 법이 일반 市民들에게 공개되기보다는 법의 운용자들에게만 주어지고 일반市民은 당이나 상급기관의 지시에 따르기만 하면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