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IC PARANASAL SINUSITIS - 만성부비동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27 00:46
본문
Download : CHRONIC PARANASAL SINUSITIS - 만성부비동염.hwp
설명
Download : CHRONIC PARANASAL SINUSITIS - 만성부비동염.hwp( 56 )
만성부비동염과 소아만성부비동염의 대한 자료입니다.
레포트/의약보건
4. 진단
⑴ 방사선 검사
- 부비동의 동별 점막의 병변정도, 골change(변화)의 유무
- 상악동의 조영제 주입후 촬영( 방사선적 기능검사법): 섬모운동, 점막 비후정도, 내용물 판정 → 보존적 수술, 근치적 수술 adaptation(적응) 결정
⑵ 철조법
- TRANSILLUMINATOR 이용 암실에서 검사
- 상악동: 입안에 물고
전두동: 안와내상연에 대고 좌우 투명도 비교
* 상악동에서 주의점
① 빨갛게 보이는 동공의 투과광선
② 하안검의 위치에 상당한 반월형의 투과광선
③ 개안시에 눈에 광선 감각의 유무
- 동 속의 농즙, 동의 발육상태, 골벽의 두께
⑶ 상악동 내시경 검사
- 하비도 측벽이나 견치와를 천자 → TELESCOPE 를 상악동 내에 삽입→ 동점막의 change(변화) 觀察(관찰) (자연구 주위점막 觀察(관찰) ), 동점막 조금 절취후 병리 조직학적 검사
- 단순방사선촬영보다 진단적 신빙성 큼.
5. 치료
급성 부비동염: 동점막의 병변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가역성이 있다는 가정하에 치료
만성 부비동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
치료원칙: 부비동의 환기, 배설유지 (비강의 형태적 이상 교정)
동점막 병변의 정도, 가역성 여부 따라 다름
- 비중격 만곡, 비갑개이상, 중비도 협착의 수술적…(drop)
다. , CHRONIC PARANASAL SINUSITIS - 만성부비동염의약보건레포트 ,




CHRONIC PARANASAL SINUSITIS - 만성부비동염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만성부비동염과 소아만성부비동염의 대한 data(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