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存在論)의 관념형성과 쟁점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9 19:40
본문
Download : 존재론(存在論)의 개념형성과 쟁점들.hwp
존재론이라는 우리말 어휘는 서양말 ‘온토로기아’(ontologia·ontology·Ontologie)의 번역어이다.
%EC%9D%98%20%EA%B0%9C%EB%85%9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1.gif)
%EC%9D%98%20%EA%B0%9C%EB%85%9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2.gif)
%EC%9D%98%20%EA%B0%9C%EB%85%9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3.gif)
%EC%9D%98%20%EA%B0%9C%EB%85%9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4.gif)
%EC%9D%98%20%EA%B0%9C%EB%85%9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5.gif)
%EC%9D%98%20%EA%B0%9C%EB%85%9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6.gif)
1. 존재론 定義(정이) 의 형성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관한 철학(→)적 理論을 각각 ‘존재론’, ‘인식론’(→)이라고 부른다. ‘온토로기아’라는 원 라틴어 철학 술어는 17세기 초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 조사되어 있는데, 고크레니우스(R. Goclenius, 1547-1628)의 『철학사전』(Lexicon philosophicum, Frankfurt/M. 1613)에 최초로 등장한다(16. art.: ‘abstractio’). 여기에서 ‘온토로기아’(ontologia)는 말뜻 그대로 ‘존재에 관한 (철)학’(philosophia de ente)이라고 풀이되어 있따
철학사적으로 볼 때 ‘존재론’이라는 명칭은 비교적 늦게 형성되었지만, 그러나 그 학문의 내용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철학의 일부, 아니 the gist부를 이루고 있따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Organon]과 형이상학[Metaphysica] 등에는 이미 거의 모든 존재론의 문제들이 등장한다…(skip)
존재론(存在論)의 개념형성과 쟁점들up존재론 , 존재론(存在論)의 개념형성과 쟁점들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존재론(存在論)의 개념형성과 쟁점들.hwp( 48 )
순서
존재론(存在論)의 관념형성과 쟁점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존재론(存在論)의 관념형성과 쟁점들
설명
up존재론
다. 그러나 어떤 철학자들의 파악에 따르면 인식의 원리가 곧 존재의 원리가 되므로, 그런 경우 존재론과 인식론은 내용적으로는 차이가 없고, 다만 관심과 관점의 면에서 구별이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