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유한회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27 02:25
본문
Download : [경영] 유한회사..hwp
③ 지분의 이전을 회사와 제3자에게 대항하려면 취득자의 성명, 주소와 그 목적이 되는 출자좌수를 사원명부에 기재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자본감소와 유사함
5) 유한회사의 계산
① 결산절차
② 계산내용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4) 자본의 증감
① 자본의 증가 : 유한회사는 자본이 정관의 절대적 기재사항이므로 자본의 증가는 정관의변경에 의한다. 총 50 인을 초과못함 (상속,유증으로 변동이 생겼을때는 50인을 초과할수 있다)
2) 사원의 권리
① 자익권, : 이익배당청구권, 잔여재산청구권, 증자시 출자인수권
② 공익권
3) 책 임 : 출자금액을 한도로 유한책임을 지며 설립시나 증자시 전보책임을 진다.
④ 검사인은 설립경과의 조사의무가 없다.
② 자본의 감소 : 사원총회의 특별결의로 자본을 감소한다.
Download : [경영] 유한회사..hwp( 63 )
[경영] 유한회사.
경영,유한회사,경영경제,레포트
순서
설명
[경영] 유한회사. , [경영] 유한회사.경영경제레포트 , 경영 유한회사
[경영] 유한회사.
다. 사원총회의 특별결의가 있어야 한다. (주주명부와 성격유사)
4. 지분의 양도
1) 사원간 지분양도
2) 사원이 아닌 타인에게 지분양도
① 사원총회 특별결의
② 지분의 양도로 사원이 50인을 초과하는 경우 유증을 제외하고는 그 양도는 무효이다.
④ 지분총수의 20분의 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기지분을 질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따
5. 회사의 기관 및 계산
1) 사원총회 ( 주주총회와 유사)
① 소집권자 : 이사, 청산인, 감사, 소수사원, 법원
② 의결권 : 1좌마다 1 의결권이 원칙이며 정관으로 의결권에 다른 정함을 할 수 있따
③ 결 의 : ㉠ 보통결의 : 의결권을 과반수 가진 사원 출석, 출석 의결권의 과반수 찬성
2) 이사
① 주식회사의 이사는 기관이 아니라 이사회의 소속원에 불과하나 유한회사의 이사는 업무를 집행하고 회사를 대표하는 필요상설기관이다.
② 이사의 수, 임기, 자격에 관련되어는 제한이 없다.
③ 초대이사는 정관으로 정할 수 있따
④ 이사가 수인이면 이사 각각이 회사를 대표하는 것이 원칙. 대표이사는 사원총회에서 결의
3) 감사( 임의 기관) 및 검사인
① 초대감사는 정관으로 정할 수 있따
② 소수사원에 의한 해임의 소를 제기할 수 없고, 임기제한이 없어지고, 자본전보책임이 없다. 증자후 인수되지 않은 출자에 관련되어는 이사와 감사가 공동으로 인수담보책임을 진다.
4) 사원명부 : 이사는 사원명부를 작성하여 본점에 비치한다.
레포트/경영경제
유한회사
1. 유한회사의 특징
1) 의 의
㉠ 다수의 균등액 출자㉡ 사원은 회사에 대해 출자의무만을 부담한다
㉢ 사원의 수는 50인으로 제한된다
㉣ 소규모의 폐쇄적인 성격의 회사다.
2) 자본단체성
① 자본의 3원칙 적용
② 수권자본제도는 인정되지 않음
③ 최저자본금은 1000만원 이상, 출자 1좌의 금액은 5,000원 이상 균일
3) 주식회사와 유한회사의 공통점과 차이점
① 공통점
㉠ 사원의 균등한 단위의 출자로 이루어지는 자본으로 설립㉡ 사원의 유한.간접책임
㉢ 자본에 해당하는 일정한 재산이 유지되어야 함
㉣ 유한회사는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
② 차이점
㉠ 설립절차의 간소화 : - 유한회사는 발기설립만 해당된다- 설립경과에 관한 검사인의 검사가 없다…(省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