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어 어미의 형태分析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14 11:41
본문
Download : 중세어 어미의 형태분석에 대하여.hwp
예를 들어 ‘양말’이 ‘洋’(서양)과 ‘襪’(버선)의 결합... , 중세어 어미의 형태분석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시간의 흐름 또는 언어의 변화 등에 의해서 그 유연성(有緣性)은 점점 사라지게 된다된다. 시간의 흐름 또는 언어의 變化(변화) 등에 의해서 그 유연성(有緣性)은 점점 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양말’이 ‘洋’(서양)과 ‘襪’(버선)의 결합...
,인문사회,레포트
시간의 흐름 또는 언어의 변화 등에 의해서 그 유연성(有緣性)은 점점 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양말’이 ‘洋’(서양)과 ‘襪’(버선)의 결합이라는 사실을 아는 이의 수는 한자어의 유연성을 아는 이들의 수와 비례해서 점점 줄어서, 이제 ‘양말’은 하나의 단어로 인식되고 있을 뿐 아니라 ‘양말’의 ‘양’이 ‘양복, 양배추’의 ‘양’과 동일한 기원의 형태소인지를 알아차리지 못하게 된다된다. 물론 공시적 기술에서 ‘-지만, -으면서’ 등을 단일형태소로 기술할 것인가 두 개 형태소의 결합으로 기술할 것인가에 대상으로하여는 여러 opinion(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를 기원적인 형태소로 分析(분석)해 보면 그 형태, 의미의 관련성을 파악해 내어 공시적인 의미 기술에도 도움이 될 것이고 아울러 그 결합이 이루어진 시기의 형태소들을 추출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현대 국어를 이런 식으로 재分析(분석)한 시도로는 Ramstedt, Mart…(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중세어 어미의 형태분석에 대하여.hwp( 85 )
중세어 어미의 형태分析에 대하여
순서
다. 현대국어에서 공시적으로 하나의 형태소로 기술되는 ‘-지만, -으면서’ 등이 각각 ‘-지’ + ‘-만’, ‘-으며’ + ‘-ㄴ서’의 결합이었다는 사실을 공시대의 화자들은 잘 인식하지 못한다. 이런 현상은 조사나 어미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