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7 16:21
본문
Download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hwp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dro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의전통교육완성
조사한 문화유산은 측우기,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 혼천의, 훈민정음, 옥루, 거북선, 앙부일구, 간의, 규표 입니다.
다. 원래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각 지방의 강우량의 분포를 알아내는 데 매우 불편하였다.
순서
설명
Download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hwp( 96 )
측우기와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와 같은 한국 전통문화유산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즉, 대(臺)를 관상감에 만들어서 측우기를 대 위에 올려놓고 비를 받도록 하는데,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測定) 하여 보고한다. 즉, 비가 내림으로써 흙속 깊이 몇 치까지 빗물이 스며들었는지를 일일이 조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흙에는 마르고 젖음이 같지 않아 강우량을 정확히 알아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조사한 문화유산은 측우기,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 혼천의, 훈민정음, 옥루, 거북선, 앙부일구, 간의, 규표 입니다. 그런데 측우기는 일정기간 동안 그 속에 괸 빗물의 깊이를 측정(測定) 하여 그 곳의 강우량으로 하기로 되어 있다 측우기는 안지름이 주척(周尺)으로 7치(14.7 cm),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밖에 세워 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다 측우기에 괸 물의 깊이는 자[尺]로 측정(測定) 한다.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측우기와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와 같은 한국 전통문화유산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한국의전통교육완성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인문사회레포트 ,
Ⅰ.측 우 기
1. 요 약
: 조선 세종 이후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강우량을 측정(測定) 하기 위하여 쓰인 기구.
2. 측우기란?
1441년(세종 23) 8월에 예조(禮曹)가 측우기를 설치할 것을 건의하여, 다음해 5월에는 측우에 관한 제도를 새로 제정하고 측우기를 만들어 서울과 각 도(道)의 군현(郡縣)에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