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통치조직 - 고구려 백제 신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3 10:05
본문
Download : 중앙통치조직 - 고구려 백제 신라.hwp
관등조직이 마련되기전에는 봉왕이나 역성 등을 통하여 각 집단의 수장층을 편제하였으나, 태조왕 이후 5나부체제라는 관등조직을 성립하였다. 고구려 초기 3세기경에는 상가·대로·패자·고추가·주부·우치·승·사자·조의·선인 등의 관등이 있었다. 상가 - 제가회의의 의장 패자 - 나부의 최고 유력자들을 편제한 관등, 군사적 기능도 갖음 대로 - 왕권 중심의 지배체제로 정비되는 과정에서 패자의 기능을 대체하면서 성립한 관등 고추가 - 왕실을 배출한 계루부의 대가나 전왕족인 소노부의 상류대인, 그리고 왕비족인 절노부의 대가가 칭하는 명예적 성격을 갖는 관등 주부 - 고구려 연맹왕권의 성장과정에서 왕권의 인적 지지기반으로 성립한 관등, 왕의 측근으로
중앙통치조직,고구려백제신라,삼국시대,인문사회,레포트
다.중앙통치조직 - 고구려 백제 신라
, FileSize : 40K , 중앙통치조직 - 고구려 백제 신라인문사회레포트 , 중앙통치조직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시대






설명
Download : 중앙통치조직 - 고구려 백제 신라.hwp( 72 )
, 파일크기 : 40K
순서
레포트/인문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