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에너지 기술지수] 2차전지-급변하는 시장 대응 전략(strategy)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8 22:08
본문
Download : 090904092601_.jpg
하지만 최근 자원 고갈과 기후變化에 대응, 그린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環境(환경)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2차전지가 새로운 승부처로 떠올랐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kr
[그린에너지 기술지수] 2차전지-급변하는 시장 대응 전략은
[그린에너지 기술지수] 2차전지-급변하는 시장 대응 전략(strategy)은
1990년대 초반만 해도 日本 이 세계 2차전지 시장의 95%를 차지했다.
다.
삼성SDI는 지난해 9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생산을 위해 독일 보쉬와 합작으로 SB리모티브를 출범했다.
[그린에너지 기술지수] 2차전지-급변하는 시장 대응 전략(strategy)은
설명
2차전지 소재 기술력 확보도 관건으로 꼽힌다. 우리 기업들도 이같은 變化에 적극 대응한다. 이를 위해 3억달러를 투자, 미국 미시간주에 현지 공장도 건설할 예정이다.
레포트 > 기타
양극재·음극재·분리막 등 the gist 부품소재는 물론 셀 생산장비도 선진국에 전량 의존하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소재·장비 분야의 경쟁력이 약한 편이지만 국내 대형 2차전지 업체들이 소재 내재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으며, 전문 기업들도 소재 개발에 나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금은 우리 2차전지의 시장 점유율이 25% 수준까지 올라갔다. 부품소재와 장비 기술의 부족이 국내 2차전지 경쟁력의 발목을 잡은 셈이다. GETI 조사에서도 국내 소재 기업들의 특허는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차전지의 4대 the gist 소재로 꼽히는 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 중 전해액과 양극재는 어느 정도 국산화가 진척됐지만 격리막은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린에너지 기술지수] 2차전지-급변하는 시장 대응 전략은
순서
LG화학은 지난 1월 미국 GM의 하이브리드 카 ‘시볼레 볼트’에 내년부터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현대모비스와 배터리팩 합작사 설립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에너지도 화학 소재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세계 최고 수준으로 더 도약하기 위해선 자동차용 2차전지 사업 안착과 소재 기술력 확보가 최대 해결해야할문제로 꼽힌다.
Download : 090904092601_.jpg( 85 )
국내 2차전지 산업은 휴대폰·디지털 기기 등 IT 전방 산업의 성장과 국내 기업들의 집중적인 투자 속에 단기간에 세계 정상 수준으로 올라섰다. 이 회사는 최근 BMW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 2013년부터 8년간 공급에 나선다.
우리 기업들은 지금까지 휴대폰·노트북PC 등 모바일 디지털 기기용 2차전지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삼성SDI와 LG화학 등은 세계적인 2차전지 메이저로 부상했다. 이 회사는 현대자동차의 아반떼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도 2차전지를 공급했다. 니키·토다·미쓰비시·쿠레아·셀가드 등 日本 ·미국 기업으로부터 4대 소재를 수입하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2차전지 소재의 국산화율은 1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