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학기 한국복식culture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19:42
본문
Download : 20152_핵심요약노트_가정3_한국복식문화.pdf
제14장 한국의 직물과 염채
제23대 고종대에 일어난 몽고의 침입과 29년간의 항전 끝에 항복한 이후로 왕실 이하 귀족ㆍ양반 계급에서는 몽고풍을 쫓는 풍조가 나타남
제6장 한국인의 치마 저고리와 바지
설명
② 제4대 광종은 역대 왕 가운데 가장 자주적인 정신을 가지고 왕권확립을 위하여 노력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송과 친선책을 취하면서 백관의 공복을 정하여 등위를 가림
제1장 한국복식의 원류를 찾아서
제12장 한국 여인의 머리 양식과 수식





제13장 개항기 이후의 복식
제1장 한국복식의 원류를 찾아서 제2장 상대 한국인의 관모와 몸치레 제3장 통일신라의 복식 제4장 고려시대의 복식 제5장 한국인의 편복포 제6장 한국인의 치마 저고리와 바지 제7장 조선시대의 관복 제8장 조선시대의 관모 제9장 한국인의 신 제10장 조선시대 여인의 예복 제11장 조선시대 여인의 몸치레 제12장 한국 여인의 머리 양식과 수식 제13장 개항기 이후의 복식 제14장 한국의 직물과 염채 제15장 한국복식의 미적 특성과 상징성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제11장 조선시대 여인의 몸치레
㉠ 머리 가장자리를 깎고 정수리 부분의 머리털만 남겨 땋아 늘인 것
순서
제5장 한국인의 편복포
제10장 조선시대 여인의 예복
- 몽고풍: 몽고 풍속이 들어와 유행한 것
① 文化적으로는 신라의 文化를 계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 송, 원 등의 文化를 다각도로 흡수
- 고려양: 고려의 풍속이 원의 사회에 전파된 것. 이때 우리 고유의 의복이 몽고에 전해지기도 함
한국복식문화,한국복식문화핵심,한국복식문화기출,한국복식문화족보,한국복식문화자료
제15장 한국복식의 미적 characteristic(특성)과 상징성
- 중략 -
Download : 20152_핵심요약노트_가정3_한국복식문화.pdf( 93 )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제4장 고려시대의 복식
제7장 조선시대의 관복
1. 고려의 사회적 배경과 복식의 관계
㉠ 원의 독특한 복식으로 일색복. 훈척ㆍ대신ㆍ근시ㆍ악공ㆍ위사 등에 이르기까지 하사받아 입었는데 모두 그 옷에 제(制)가 있어 상하의 구별이 있음
(1) 고려 초기ㆍ중기(오대ㆍ송의 복식 영향기)
㉣ 복제(服制)
㉡ 일반서민이 모두 따른 것은 아니며 지배계급인 관료층과 출세를 추구하는 일부 지식층에서만 호응
① 개체변발
③ 질손
① 통일신라 이후 고려도 신라의 제도를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외국과의 관계에서 오대ㆍ송과 평화적인 친교관계를 맺어 그 文化를 흡수
② 원의 고려에 대한 사복(賜服): 원의 복식을 상징하는 것으로는 옥대(玉帶), 탑자포(塔子袍), 금탑자 (金塔子), 표리(表梨), 금포(金袍), 금단의(金段衣), 주사표리(紬絲表裏), 진주의(眞珠衣: 공주가 착용)등
제2장 상대 한국인의 관모와 몸치레
- 우리 국속과 송제를 물려받은 원제의 이중적인 구조로서 왕의 면복, 백관의 공복 계통은 송제와 별 차이가 없었음
㉡ 내정대연에서 입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일종의 편복(便服)
② 정치적으로는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자처하면서 북방민족과 끊임없이 무력적 또는 정신적인 싸움을 계속
제8장 조선시대의 관모
(2) 고려 후기 (몽고 복식 영향기)
㉢ 천자(天子)는 질손으로 조복, 공복을 삼고, 백관의 질손에는 동복 9등, 하복 14등이 있었음
제9장 한국인의 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제3장 통일신라의 복식
제4장 고려시대의 복식
2015년 2학기 한국복식culture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③ 고려시대 복식의 변천은 「고려사」,「여복지서문」을 통해 잘 알 수 있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