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2 09:23
본문
Download :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hwp
Fukuyama도 ‘신뢰’사회를 바탕으로 하는 ‘市民사회’를 번영하는 민주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있다아
본 토론에서는 市民단체와 사회복지라는 직접적 관계를 논하기 보다는 市民사회 전반을 성장시키기 위한 government 의 지원방향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겠다.
3쪽
1) 市民사회의 발전
government 와 기업으로부터 구분되는 ‘市民사회’ 혹은 제3섹터는 민간부문이면서도 공익서비스 전달에 참여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市民단체들이 주된 활동주체가 된다
다.
종래의 복지국가 패러다임에서는 국가가 공익서비스의 독점적 공급자였으나 市民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소위 복지다원주의로 바뀌고 the gist적 전략(strategy)은 제3섹터의 활용에 있다아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
2. government 지원의 방향
Download :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hwp( 52 )
「일의 종말」(the end of work, 1995)의 저자로 유명한 Jeremy Rifkin은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市民사회 영역의 중요성과 展望에 대하여, 다가오는 21세기에는 제3섹터가 직업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보다 많은 역할을 하는 영역이 될 것이라고 한다.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
1. 市民사회의 전개
제3섹터는 시장(제2섹터)과 government (제1섹터)들과 공조하면서 한편으로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보다 조직화된 세력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사회는 종래의 시장자본(market capital), 공공자본 (public capital)과 함께 새로운 유형의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 발견되어지고 있으며, 市民사회가 바로 사회자본을 창출하는 영역이며, 사회자본은 “신뢰, 규범 및 네트워크”로 구성된다는 것이다(하버드대 Putnam교수).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市民사회 건설을 위한 government 의 지원방향
1. 市民사회의 전개
목차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276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C%82%AC%ED%9A%8C%EC%A0%95%EC%B1%85%EB%A1%A0%5D%20%EB%B0%94%EB%9E%8C%EC%A7%81%ED%95%9C%20%EC%8B%9C%EB%AF%BC%EC%82%AC%ED%9A%8C%20%EA%B1%B4%EC%84%A4%EC%9D%84%20%EC%9C%84%ED%95%9C%20%EC%A0%95%EB%B6%80%EC%9D%98%20%EC%A7%80%EC%9B%90%EB%B0%A9%ED%96%A5-2767_01.gif)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276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C%82%AC%ED%9A%8C%EC%A0%95%EC%B1%85%EB%A1%A0%5D%20%EB%B0%94%EB%9E%8C%EC%A7%81%ED%95%9C%20%EC%8B%9C%EB%AF%BC%EC%82%AC%ED%9A%8C%20%EA%B1%B4%EC%84%A4%EC%9D%84%20%EC%9C%84%ED%95%9C%20%EC%A0%95%EB%B6%80%EC%9D%98%20%EC%A7%80%EC%9B%90%EB%B0%A9%ED%96%A5-2767_02_.gif)
![[사회정책론] 바람직한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향-276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C%82%AC%ED%9A%8C%EC%A0%95%EC%B1%85%EB%A1%A0%5D%20%EB%B0%94%EB%9E%8C%EC%A7%81%ED%95%9C%20%EC%8B%9C%EB%AF%BC%EC%82%AC%ED%9A%8C%20%EA%B1%B4%EC%84%A4%EC%9D%84%20%EC%9C%84%ED%95%9C%20%EC%A0%95%EB%B6%80%EC%9D%98%20%EC%A7%80%EC%9B%90%EB%B0%A9%ED%96%A5-2767_03_.gif)


‘市民단체와 사회복지’의 주요내용은 우리나라 市民단체의 성장 배경 및 특징과 해결해야할문제를 다루는 속에서 사회복지계에 던지는 강한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아 이러한 내용은 사회복지계에 몸담고 있는 관계자들이 스스로 사회복지 영역의 확대와 방향전환을 하도록 주문한 것이지만, 市民단체와 사회복지라는 새로운 관계성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