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환경경제 운하비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2 11:44
본문
Download : 환경경제 운하비용.hwp
지금은 신문은 물론 출·퇴근길 시민(市民)들의 일상 대화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나올 정도로 익숙한 용어가 됐다. ‘기준선(baseline)’과 ‘할인율(discount rate)’의 설정이다.
[행정] 환경경제 운하비용
환경경제 운하비용





환경경제 운하비용,환경경제,운하비용,편익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환경경제 운하비용
설명
Download : 환경경제 운하비용.hwp( 65 )
첫째, 기준선이란 특정 프로젝트 혹은 government 정책이 실행되지 않았을 경우의 경제 상태를 의미한다. B/C 分析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최근 들어 우리 국민의 경제 지식을 한 단계 더 상승시킬 만한 또 다른 경제 용어가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찬성 측은 운하가 제2의 국운(國運) 융성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 측은 경제적 環境적으로 국가 재앙을 야기할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環境경제 운하비용
이 용어가 등장한 것은 대통령 당선자의 주요 공약인 한반도 대운하가 계기가 됐다. 대표적인 것이 ‘현재가치법’이다.
또 다른 기준은 ‘비용 대비 편익(B/C) 비율’이다. ‘비용편익分析’(benefit cost analysis)이란 개념이다. 이때 각 분야의 편익(benefit)과 비용(cost)을 정량적으로 分析한 뒤 사회 전체적으로 공공의 이익이 증가하는가, 아니면 감소하는가를 평가하는 데 비용편익分析이 사용된다된다. 프로젝트를 통해 발생하는 모든 경제적 편익과 비용을 현 시점에서 평가한 현재 가치(present value)의 차이를 통해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한다. 그런데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 똑같은 경부 운하 사업을 놓고도 分析자에 따라 B/C 비율이 2.3에서 0.05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라고 한다. 당연히 편익에서 비용을 뺀 값이 0보다 클수록 바람직한 사업이 된다된다.
비용편익分析을 수행하는 데 있어 두 가지 point적인 요소가 있다.
10년 전 외환위기를 야기한 주범의 하나로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라는 용어가 인구에 회자된 적이 있다. government 의 개발 계획 혹은 정책은 일반적으로 특정 민간 부문에서는 생산과 소비를 증가시키는 반면, 다른 부문에서는 생산과 소비를 감소시키게 된다된다.
다. 이 타당성 검증 작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비용편익分析이다. 모든 경제적 비용 대비 경제적 편익의 비율이 어떤 값을 갖는가를 평가한다. 즉, 경제적 편익과
#사업 스타트 전에 ‘비용편익分析’으로 타당성 여부 평가
공공경제학의 연구 영역 중 하나인 비용편익分析은 government 가 특정 프로젝트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때 체계적인 의사 결정 수단으로서 종종 활용되고 있다.
평가의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논쟁의 point은 과연 어떤 기준으로 한반도 대운하 건설의 타당성을 검증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