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analysis(분석) /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4:54
본문
Download :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이런 경우에는 기본 자료(資料)가 2개만 남아있는 경우에 비해서 단 한 개의 자료(資料)가 누락된 상태이므로 어느 정도의 시대별 인구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analysis(분석) /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333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8F%84%EC%8B%9C%EC%A7%80%EB%A6%AC%5D%20%EC%9D%B8%EA%B5%AC%ED%86%B5%EA%B3%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8F%84%EC%8B%9C%EC%B2%B4%EA%B3%84%20%EB%B6%84%EC%84%9D-3336_01.gif)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333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8F%84%EC%8B%9C%EC%A7%80%EB%A6%AC%5D%20%EC%9D%B8%EA%B5%AC%ED%86%B5%EA%B3%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8F%84%EC%8B%9C%EC%B2%B4%EA%B3%84%20%EB%B6%84%EC%84%9D-3336_02_.gif)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333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8F%84%EC%8B%9C%EC%A7%80%EB%A6%AC%5D%20%EC%9D%B8%EA%B5%AC%ED%86%B5%EA%B3%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8F%84%EC%8B%9C%EC%B2%B4%EA%B3%84%20%EB%B6%84%EC%84%9D-3336_03_.gif)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3336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8F%84%EC%8B%9C%EC%A7%80%EB%A6%AC%5D%20%EC%9D%B8%EA%B5%AC%ED%86%B5%EA%B3%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8F%84%EC%8B%9C%EC%B2%B4%EA%B3%84%20%EB%B6%84%EC%84%9D-3336_04_.gif)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3336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8F%84%EC%8B%9C%EC%A7%80%EB%A6%AC%5D%20%EC%9D%B8%EA%B5%AC%ED%86%B5%EA%B3%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8F%84%EC%8B%9C%EC%B2%B4%EA%B3%84%20%EB%B6%84%EC%84%9D-3336_05_.gif)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
순서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으로 1970년, 1980년, 199...
둘째, 각 도시 별 필수 자료(資料) 4개 중에 2개만 남아있는 경우.
다. 따라서 이러한 도시들에 대한 analysis을 위해서는 누락된 수치들을 채워 넣는 작업이 먼저 필요했다.
Download : [도시지리]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hwp( 72 )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으로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의 인구 변화를 analysis하고, 전반적인 패턴을 기술하라. 인구가 많이 성장한 도시와 정체하고 있는 도시들의 특징을 설명(說明)하라.
이런 경우에는 이전의 자료(資料)들을 찾아보려고 각 시의 Internet 사이트나 연감을 살펴보았으나 구할 수가 없었다. 각 도시별 인구변화를 analysis하기 위해서 4개씩(1970, 80, 90, 2000년)의 인구수가 표시되어 있어야 했는데 그 중에 통계청에서도 누락된 자료(資料)를 직접 조사한다는 것은 시간상, 경제상의 제약이 뒤따랐다. 따라서 이러한 시들은 analysis에서 제외하였다.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으로 1970년, 1980년, 199...
셋째, 각 도시 별 필수 자료(資料) 4개 중에 3개만 남아있는 경우1).
첫째, 각 도시 별 필수 자료(資料) 4개 중에 단 1개만 남아있는 경우.
우리나라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으로 인구 변화를 analysis하기 위해서 통계청 자료(資料)를 다운로드 받아본 결과 통계 수치가 몇몇 누락되어 있는 도시들이 있었다. 그렇다고 2개간의 증가, 감소율을 따져서 나머지 반 이상의 변수들을 대체한다는 것은 전체적인 analysis에서 오차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도시들도 analysis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 기준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자료(資料)를 어느 정도 계량화하는 방법을 택했다. 따라서 나머지 세 개의 자료(資料)간의 관계를 따져봄으로써 나머지 누락된 한 개의 예상치를 얻어낼 수 있...
이런 경우에는 1개가 남아있는 경우보다는 시의 시대별 인구변화를 알 수는 있었지만 그것의 증가, 감소의 정도만 파악할 수 있었을 뿐 어느 정도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지 수치상으로 파악하는 작업이 사실상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