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동기부여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1 18:11
본문
Download : [행정학] 동기부여이론.hwp
②기대理論(과정理論):동기는 주관적이고 어떤 보상이나 기대에 의해 나타난다.
②인간은 각기 다른 주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동기가 발생하였다고 하여 직무수행 능력을 가져온다고 보지 않았다(직무수행능력과 동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③사기와 생산성 향상과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주관적인 심리 때문에).
①인간은 자기가 한 노력, 성과가 정당한 보상을 받는다고 기대되었을 때 직무수행능력을 가져온다고 보았다.
②만족이 업적(생산성)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업적이 만족을 가져온다고 보았다.
순서
행정학,동기부여이론,법학행정,레포트
[행정학] 동기부여理論(이론)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설명
[행정학] 동기부여이론 , [행정학] 동기부여이론법학행정레포트 , 행정학 동기부여이론
[행정학] 동기부여理論(이론)
동기부여理論
1. 개 념
⑴조직이 인간을 소망스러운 방향으로 유도하는 행위(Koontz 주장)⑵어떤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
⑶내용理論과 기대理論(과정理論)으로 구분
①내용理論:동기는 선험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나타난다.
③사기와 생산성의 관계를 인정하였다.
2. 내용理論
⑴McGregor의 X, Y理論①X理論
㉠1920년대 과학적 관리론, 고전적 조직理論에서 강조㉡경제적 보상이나 물질 중시(경제적?합리적 인간 중시, 기계적 능률성, 권위형)
㉢인간은 선천적으로 게으르고, 일하기도 싫어하고 남의 통제?지배받기를 원한다(인간의 피동성을 강조).
㉣당근과 채찍에 의한 관리, 보상과 제재에 의한 관리
②Y理論
㉠1930년대 인간관계론, 신고전적 조직理論에서 중시㉡…(To be continued )
①Lundstedt 연구, 레크레이션(점심시간의 휴식) 강화를 통한 자유방임형(학교, 연구소에 적합)을 의미
②Ouchi 연구
①자아실현의 욕구:가장 고차원적인 단계로,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함. ??직무충실, 직무확대, 사회적 평가 제고
②존경의 욕구:타인으로부터 존경받기를 원하는 단계 ??교육훈련, 제안제도
③사회?애정의(定義) 욕구:이웃 사람과의 친밀한 인간관계 ??의사전달의 원활
④안전의 욕구:외부 environment으로부터 생명의 안전?위협적인 요인을 제거하는 단계
⑤생리적 욕구:가장 하위욕구(의식주 문제와 관련) ??탄력근무제(flex-time), 보수
①1970년대 Maslow 5단계설을 비판해서 등장함(지나치게 세분화시켰다고).
②세 단계로 축소
③좌절-퇴행의 욕구理論 정리(arrangement)
①위생요인(불만족요인, X理論)
②만족요인(동기요인)
①경제적?합리적 인간:과학적 관리론에서 강조
②사회적 인간:인간관계론에서 강조
③자아실현 인간
④복잡인관
3. 과정理論
①인간은 어떠한 보상, 기대심리에 의해서 동기가 일어난다고 본다.
Download : [행정학] 동기부여이론.hwp( 95 )
레포트/법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