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토목 & 항만 工學(공학) 요점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1 20:47
본문
Download : 토목 & 항만 공학 정리집.hwp
토목&항만공학정리집 , 토목 & 항만 공학 정리집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토목 & 항만 공학 정리집.hwp( 57 )
### 선박의 톤수의 종류를 쓰고 설명(說明)하고 특히 이용事例를 제시하시오 (p.8) ###
<<< 선박의 톤수 >>> <<< 총톤수 >>>
① 배수(排水)톤수 (displacement tonnage) : (ex) 군함 (∵ 무게가 대략 일정하므로)
선박(船舶)을 물에 띄웠을 때 배제한 물의 중량 ---> 선박의 실제 무게
(cf. 만재 흘수상태,만재 배수량, 어떤 흘수에서 선박의 전중량 즉, 선박의 무게 + 화물 중량)
(cf. 경하중량 = 선체부 + 기관부 중량)
② 중량(重量)톤수 (dead weight tonnage, D.T.) :
`화물(貨物)을 만재(滿載)할 때의 배수톤수`에서 `선체의 중량`을 뺀 값
--->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
③ 총톤수 (gross tonnage, G.T.) :
`선박의 전용적`을 `100 ft³(2.83 ㎥)`로서 나눈 값 (전용적 100 ft³을 1 ton으로 계산한 값) ---> 각종 설계의 기준이 되고 상선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④ 순(純)톤수 (net tonnage, N.T.) :
`승객과 화물을 실을 수 있는 부분의 용적`을 `100 ft³`으로 나눈 값
---> 각종 수수료(계선료, 입항료 등...)를 낼 때의 기준이 된다
(cf. 기관실, 선원실, ballast tank(부레 역할)은 제외됨.)
※ 항만계획에는 주…(drop)
토목 & 항만 工學(공학) 요점집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본 자료(資料)는 토목 & 항만 工學(공학) 에 대해 요점해놓은 리포트입니다.
레포트/공학기술
토목&항만工學(공학) 요점집
본 자료는 토목 & 항만 공학에 대해 정리해놓은 리포트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