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9 07:53
본문
Download : 전통음악의 이해.hwp
전통음악의 이해전통음악의이해 , 전통음악의 이해예체능레포트 ,
순서
전통음악의 이해
1. 한국음악의 범위
한국음악: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악양식으로 이루어진 음악culture로서 한국사람의 음악통시적 관점 / 공시적 관점
2. 국악의 음이름
황종(黃鐘) 대려(大呂) 태주(太簇) 협종(夾鐘) 고선(姑洗) 중려(仲呂) 유빈(賓) 임종(林鐘)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射) 응종(應鐘)3. 국악의 악보
율자보 공척보 약자보 육보 합자보 정간보 오음약보 연음표4. 국악의 시김새
* 농현: 현악기의 왼손기법 중의 하나. 요성법(搖聲法), 퇴성법(退聲法), 전성법(轉聲法)5. 국악의 선법
* 평조* 계면조
6. 국악의 형식
* 도드리: 환입(換入)* 만(慢) 중(中) 삭(數): 한 배, 속도의 느리고 빠름
* 메기고 받는 형식
7. 장단
정악 장단: 곡에 따라 기본 장단형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거의 꾸밈없이 일정하게 침민속악 장단: 기본 장단을 갖가지로 변화시켜 침
2. 정악과 민속악
1. 정악 : 아정(雅正)한 음악 또는 정대(正大)한 음악의 준 말. 혹은 올바른 음악.
① 용어의 origin - 일제 시대 <정악유지회>에서 기원. (구한말까지 풍류방에서 노래와 기악을 즐기던 선비나 부유했던 중인 출신의 풍류객들에 의하여 전승되었던 음악culture의 명맥을 후대에까지 이어주려고 설립되었던 사설 음악교육기관)
Download : 전통음악의 이해.hwp( 77 )
전통음악의이해
레포트/예체능






설명
전통음악의 이해
,예체능,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