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은 되었지만 38선이 한반도를 나눴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1 07:41
본문
Download : 해방은 되었지만 38선이 한반도를 나눴다.hwp
(1차대전 후의 독일 식민지 처리 방안(方案)을 본뜬 것) 조약에 나타난 당시 상황
① 카이로선언(1943. 11)에서 ; 연합국은 일정한 절차를 밟아 조선을 자유 및 독립국가로 할 결의를 가진다
② 얄타회담(1945. 2)에서 루즈벨트는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기간을 20, 30년으로 말했고 스탈린은 그 기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는 意見을 제시했다.
② 미국government 는 1942년에 이미 日本(일본)의 패전 뒤 한반도를 독립시키되 그 전에 일정기간 동안 연합국의 공동관리로 신탁통치를 할 것을 구상했다.
미…(skip)1) 만주와 북위 38도선 이북의 조선, 사할린 및 쿠릴열도에 있는 日本(일본)군은 소런 극동최고사령관에게 항복하고
2) 日本(일본)군 대본영과 日本(일본)군 본토 및 이에 인접한 섬들, 38도선 이남의 조선과 쿠릴열도 및 필리핀에 있는 日本(일본)군은 미국 태평양육군부대 최고사령관에게 항복하자는 내용이었다. 얄타회담에서 한 약속에 따라 소련이 대日本(일본)전에 참여하자 당황한 日本(일본)은 8월 10일 새벽에 ‘천황의 국가통치 대권 변경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전제 아래 연합국에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겠다는 항복의사를 통고했다. 이때도 이미 한반도를 한강 선에서 분할하여 그 남과 북을 각각 日本(일본)과 청나라의 세력권 속에 둠으로써 청일 전쟁을 피하자는 意見도 일부 제시되었으나 日本(일본)이 전쟁에서 승리함.
③ 태평양으로 진출하기 위해 이른바 부동항(不凍港)을 구하던 또 다른 대륙세력 러시아가 반일적인 조선정권과 결탁하여 한반도에 깊이 침투하고 日本(일본)을 견제했다. 이때도 궁지에 몰린 日本(일본)쪽에서 러일 전쟁을 피하기 위해 38도선을 경계로 남과 북을 각각 日本(일본)과 러시아의 세력권 안에 두자는 意見이 나오기도 했다.hwp( 40 )
한반도 분단에 대한 글입니다.해방은되었지만38선이 , 해방은 되었지만 38선이 한반도를 나눴다. 그러나 결국 日本(일본)이 강점.
해방은되었지만38선이
Download : 해방은 되었지만 38선이 한반도를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