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빅3사 `규제 늘고 부담할 의무 커지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2 23:55
본문
Download : 091211102949_.jpg
삼성SDS와 LG CNS, SK C&C 등 정보기술(IT) 서비스업계 ‘빅3’가 좌불안석이다.
기획재government 의 정보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이행과정에서 인지하거나 취득한 정보를 무단으로 누출한 사업자를 부정당사업자로 지정, 6개월 입찰 참여를 제한하는 조치와 지식경제부가 추진하는 불공정 하도급 거래 IT 서비스 기업의 공공 부문 입찰 제한이 사실상 ‘빅3’를 타깃으로 하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빅3’ 한 최고경영자는 “주요 부처 및 기관의 의사결정에 아쉬운 점이 적지않은 게 사실”이라고 전제한 뒤 “자칫 자사 이기주의 혹은 기업이기주의로 곡해될 여지가 많아 이렇다 할 opinion을 표시하지 않는 게 낫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빅3 고위 관계자는 “대기업간 컨소시엄 금지 취지가 중견·중소 IT 서비스 기업 참여 확대를 통한 IT 서비스 및 SW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과거 10여년간 중견·중소 IT 서비스 기업의 참여와 경쟁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대기업 입찰 참여 제한과 중견·중소기업 참여시 가점 부여 등 특혜에 가까운, 파격적인 조치가 무수히 단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중견·중소 IT 서비스 기업의 경쟁력은 예나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며 제도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레포트 > 기타
또 빅3간 연합이 가격 경쟁을 조장한다는 일각의 주장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
기획재government 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는 물론 조달청과 국민건강保險공단 등 주요 부처 및 기관이 동시다발적으로 규제조치로 압박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 또한 예사롭지 않은 수준으로 고조되고 있다아
다. 저가·출혈 경쟁이 중견·중소 IT서비스업체로부터 촉발되는 현상이라는 說明(설명) 이다.IT 서비스 빅3사 `규제 늘고 부담할 의무 커지고…`
빅3 관계자는 “정보화 사업 예산 규모가 크고 과업 내용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어 특정 업체가 단독으로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적지않다”며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행할 경우에 각각 보유한 전문 기술을 활용,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순서





이같은 조치가 구체화될 경우에 ‘빅3’의 운신의 폭이 상당 부문 제한되고 비용 등 각종 부담도 늘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지적이다.
IT 서비스 빅3사 `규제 늘고 부담할 의무 커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빅3’는 government 부처 및 주요 기관과의 역학 관계를 고려할 때 드러내놓고 이의와 불만을 제기할 수 없는 구조라는 데 고민을 더하고 있다아
설명
IT 서비스 빅3사 `규제 늘고 부담할 의무 커지고…`
이와 함께 기획재government 와 지식경제부의 압박 조치에도 적지않은 불만과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아
국토해양부와 국민건강保險공단, 조달청의 잇따른 대기업간 컨소시엄 금지와 관련, 빅3는 ‘그랜드 컨소시엄’ 자체가 고도의 戰略적 선택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를 공동 수주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설파한다.
뿐만 아니라 이른 바 ‘반 빅3’ 진영의 결집된 세몰이 또한 부담 아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Download : 091211102949_.jpg( 86 )
IT 서비스 빅3사 `규제 늘고 부담할 의무 커지고…`
삼성SDS와 LG CNS, SK C&C는 대기업간 컨소시엄을 금지하는 잇따른 조치로 입지가 갈수록 줄어들 수 밖에 없는 국면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담해야 할 의무는 가중되는 등 사실상 2중고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며 하소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