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일본)사 -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 막부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9 23:56
본문
Download : 일본사 -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hwp
이 전란은 큰 전투는 아니었지만 무사들이 큰 힘을 발휘하였으므로, 이후 무사들이 세력 신장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천황가에서는 고시라카와 천황과 스토쿠 상황 사이의 갈등이 있었고, 섭관가에서는 관백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와 동생 요리나가가 대립하였다.
日本(일본)사 -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 막부에 관해
Download : 일본사 -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hwp( 63 )





순서
설명
헤이시가 멸망한 후, 요리토모는 조definition 승인을 받아 지방의 각 구니에 슈고, 장원과 공령에는 지토를 두었다. 드디어 1156년에 도바 상황이 사망하자, 황위 계승을 둘러싸고 각기 두 편으로 나뉘어 전투를 시작하였다. 그는 후지가와 전투에서 헤이시 부대를 격파한 뒤에도 그대로 가마쿠라에 머물면서 동국 지방의 안정에 주력하였다. 이를 호겐의 난이라고 한다. 슈고는 각 구니마다 설치되었는데, 구니의 무사들을 지휘하여 군사·경찰 업무를 담당하고, 지방의 정치에도 관여하였다. 둘째 모반인, 셋째 살해인을 체포하는 등 치안을 유지하는 일을 담당했다.
다.
12세기 중엽에 이르자, 천황가와 섭관가 사이에는 내부적인 갈등이 심화된다. 드디어 1156년에 도바 상황이 사망하자, 황위 계승을 둘러싸고 각기 두 편으로 나뉘어 전투를 스타트하였다. 또, 지토에게는 병량미를 징수할 수 있는 권리도 주어졌다. 천황가에서는 고시라카와 천황과 스토쿠 상황 사이의 갈등이 있었고, 섭관가에서는 관백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와 동생 요리나가가 대립하였다. 이 무렵 헤이시는 반격을 시도하였으나, 고시라카와 법황으로부터 헤이시의 토벌을 명령받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동생 요시쓰네에게 진격을 명하여, 1185년 3월 마침내 헤이시 일족을 규슈 지방의 단노우라에서 멸망시켰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일본사,가마쿠라 막부,무로마치 막부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의 거병은 실패했지만, 헤이지의 난 이후 이즈 지방에 유배되어 있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시나노 지방의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와 제휴하여 군대를 일으켰다. 고시라카와 천황은 미나모토노 요시모토와 다이라노 기요모리를 끌어들여 스토쿠 천황파를 무너뜨렸다. 슈고는 원칙적으로 일반 정무에는 관여하지 못하게 되어 있었으나, 국아의 재청 관인에 대한 명령권을 지니고 있었으므로 국아의 일반 행정에도 개입함으로써 점차 조definition 지방 지배를 위협하게 되었다.
12세기 중엽에 이르자, 천황가와 섭관가 사이에는 내부적인 갈등이 심화된다. 고시라카와 천황은 미나모토노 요시모토와 다이라노 기요모리를 끌어들여 스토쿠 천황파를 무너뜨렸다. 또, 지토는 장원과 국아령에 설치되어 연공을 징수하여 장원 영주에게 보내고, 토지를 관리하며, 치안 유지에 임하였다. 이를 호겐의 난이라고 한다. 이 전란은 큰 전투는 아니었지만 무사들이 큰 힘을 발휘하였으므로, 이후 무사들이 세력 신장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특히, 요리토모는 동국 지방 무사들의 지지를 등에 업고 세력을 확대하여 가마쿠라에 무사단 본부를 두고, 헤이시에 반기를 든 전국의 무사들을 규합하여 헤이시를 압박해 갔다. 이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조정으로부터 동국 지방의 지배권을 인정받은 후, 동생인 미나모토노 노리요리와 요시쓰네에게 대군을 지휘하게 하여 마침내 미나모토노 요시나카를 오미 지방에서 무너뜨렸다. 슈고의 권한을 대범삼개조라 했는데, 첫째 오반사이소쿠라 하여 자기가 관할하는 구니의 고케닌들을 지휘하고 평상시의 봉공으로 쿄토의 경비를 담당하게 했다. 한편, 헤이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륙 지방을 제압한 뒤 교토로 진격하는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의 군대를 막을 수 없게 되자, 헤이시는 1183년 7월에는 안토쿠 천황과 함께 서국 지방으로 달아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