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대체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3 06:51
본문
Download : 20131_출석_국문3_우리말의구조.pdf
(2) 문법의 의미
(2) 문법 연구의 관점에 따른 분류
(예) 3학년 때 배우는 ‘우리말의 구조’는 문법(문법론) 과목이다.
제2장 형태소
2. 문법의 연구 방법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① 규범문법 : 언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 학교문법, 전통문법(넓은 의미의 문법)
설명
2013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대체시험 point체크
① 넓은 의미의 문법 : 말(문장)을 만드는 모든 규칙, 모든 언어는 일정한 규칙의 지배를 받음
Download : 20131_출석_국문3_우리말의구조.pdf( 90 )
순서
- 조어론 : 합성이나 파생에 의해 새 단어가 만들어지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 형태론 : 형태소와 그 형태소들이 단어를 이루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1. 문법의 concept(개념)
우리말의구조,우리말의구조기말,우리말의구조기말시험,우리말의구조시험,우리말의구조핵심,방송대우리말의구조,방송대우리말의구조,방통대우리말의구조
제1장 문법과 우리말의 문법적 特性
제4장 합성어와 파생어
제1장 문법과 우리말의 문법적 characteristic(특성)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1) 문법론의 범위
제3장 단어와 단어의 구성요소
①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규칙체계
- 굴절론 : 한 단어 내에서 어간에 어미가 결합하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 중략 -
② 형태론
제1장 문법과 우리말의 문법적 특성 제2장 형태소 제3장 단어와 단어의 구성요소 제4장 합성어와 파생어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① 좁은 의미의 문법
(1) 넓은 의미의 문법과 좁은 의미의 문법
(예) “철수에 물을 주었다.”는 문법에 어긋나는 말이다.
② 좁은 의미의 문법 : 음운규칙에 상대되는 concept(개념)으로서의 문법
② 문법을 연구하는 학문분야(문법론, 문법학, grammar)





- 통사론 : 단어들이 구(句)나 문장을 이루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② 기술문법 : 문법 현상을 실제 있는 그대로 과학적으로 기술하는 문법, 193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구조주의 기술언어학에서 기원된 용어, 理論문법, 학문문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