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한국근현대사] 조선의 근대화와 기독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8 16:15
본문
Download : 조선의근대화와기독교.hwp
하지만 교회와 제국주의의 상관성을 거론하지 않고서 어떻게 지난 100년의 우리文化(culture) 를 되돌이켜 볼 수는 없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본문일부]
1. 민간신앙은 우상숭배인가
1. 세계관의 문제
[한국근현대사] 조선의 근대화와 기독교
Ⅸ. 희망은 있는가
Ⅵ. 일대 사건, 대부흥운동과 또 다른 사머니즘 운동
Ⅶ. 점령군의 힘, 기독교의 힘
기독교, 조선, 근대화, 선교사, 양물
Ⅰ. 조선의 기독교인가, 기독교의 조선인가
Ⅱ. 왜 또다시 문제는 미국인가
단재 신채호는 `조선 歷史상 1천 년래 제1대 사건`으로 묘청의 난이 김부식에 의해 좌절된 사건을 꼽았다.
Ⅲ. 문명과 야만의 나라에 문명개화를
순서
Ⅳ. 가마탄 양대인, ‘선교사 권력’의 등장
Download : 조선의근대화와기독교.hwp( 82 )
2. 제사는 우상숭배인가
설명
Ⅰ. 조선의 기독교인가, 기독교의 조선인가
Ⅴ. 의도된 전술, 정치와 종교의 분리
2. 문명과 야만의 문제
Ⅷ. 푸닥거리 신, 우상과 이성
[목차]
조선의 근대화 과정에서 전래된 `기독교`의 본질에 대해서, 일반적인 시각과는 다르게 접근해 본 글입니다. 이유는 지난 수백 년의 화두였던 서교와 동학, 동도와 서기 논쟁의 마지막 결산이 이 대목에서 적나라한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서세동점하던 당시의 歷史를 기술하면서 애써 기독교 문제를 회피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곳곳의 중추부에 ` 너무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포진되어 있는 까닭에 그들의 비판이 두려워서 인지도 모르겠다.
다.





조선의 근대화 과정에서 전래된 `기독교`의 본질에 대해서, 일반적인 시각과는 다르게 접근해 본 글입니다.
`조선(朝鮮)의 기독교(基督敎)`가 아니라 `기독교의 조선`으로 된 연원을 밝히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단재는 조선의 歷史가 원래 낭가의 독립사상과 유가의 사대주의로 분립하여 오다가 갑자기 묘청이 불교도로서 낭가의 이상을 실현하려했으나, 결국에는 패망하고 마침내 유가의 사대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