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9 18:04
본문
Download :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hwp





[기타]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레포트 > 기타
순서
Download :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hwp( 15 )
글을 쓰는 법에도 `예`가 있기 마련이다. 정조의 문체반정도 추사의 글씨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선과 악의 미정 상태인 그것을 어찌 마름할 것인가가 성리학의 key point(핵심) 문제였다. . `정조가 살아있었더라면` 조선은 근대화에 성공했을 것이라는 말은 과연 옳을까? 소설에서는 가능한 질문이나, history(역사) 에서 가정은 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선의 `예송`문제는 필연적으로 뒤따를 수밖에 없었다. 정조가 개혁군주니 뭐니 한다고 해도 그것은 절대왕권의 강화의 방향이었을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닐것이다. 그것은 추사의 특유의 성취였지만, 동시에 근대라는 거대한 물결에 조선이 adaptation(적응) 하지 못하게 된 까닭도 거기에 숨어있다고 했다. `예(禮)`는 바로 그 `기`를 마름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기(氣)`라고 하는 것이다. 그것은 `글짓는 방식`에 관한 논의이다. 왜냐면 그것은 절대선이기 때문이다. 죽은 정조에게 `정조가 살아있었더라면`이라는 명제는 성립되지 않는 말이
설명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주리(主理)의 전통이 강했던 조선의 입장에서는 `리(理)` 그 자체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다.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다.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유교에서 최소한 성리학의 전통에서 그 key point(핵심) 은 `예(禮)`가 된다 `인(仁)`은 사람을 존중하는 마음이며, `의(義)`란 사람의 존중하는 것 그 자체가 옳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예(禮)`란 그것을 사람의 언어나 행위로 어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정조의 문체반정은 글의 `예`에 충실하고자 한 것이다. 김현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복고주의 경향의 최상의 단계를 성취한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