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역학 - 변형률 해석 定義(정의) 및 槪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7 14:27
본문
Download : 재료역학 - 변형률 해석 정의 및 개.hwp
변형 혹은 변형률은 응력이나 온도變化(변화)의 결과이며, 입자의 성장이나 수축과 같은 다른 물리적 현상들의 결과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변위가 xy 평면에 제한되어 있는 물체를 고려해 보자 그림 1-1 에서 실선은 하중이 작용되기 전의 물체를 나타내며 점선은 하중 작용 후의 변형된 물체를 나타낸다. 1-1 변위, 변형과 변형률
재료역학,변형률
1-1 변위, 변형과 변형률 1-1-1 변위 여러 하중들이 구조물이나 기계요소에 작용될 때, 일반적으로 물체의 개개의 점들은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만약 동일 재료이며 동일 단면적을 지닌 두 개의 봉이 동일하중을 받는다면(그림 1-2b), 2-L 길이의 봉의 변형은 1-L 길이의 봉의 변형의 두 배가 된다 그러므로 응력이 내력의 세기(단위면적당 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처럼 변형의 정도(크기)에 대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1축 하중(그림 1-3a 참조)을 받고 있는 단순 봉의 길이(혹은 폭) 變化(변화)를 이용해서 수직변형률의 관념을 설명(explanation)할 수가 있따 봉의 길이에 걸친 mean(평균) 축변형률(average axial strain, 수직변형률, 앞으로 축변형률이라고 부르기로 함) avg는 축변형n을 봉의 원래 길이(L)로 나누어 얻는다
1-1-2 변형
이다.
1-1-3 변형률
변형은 힘이나 응력 또는 온도變化(변화)에 연관될 수 있따 그림 1-1에서 선분 AB의 변형()는 이다. 적정한 기준좌표계에서 측정(measurement)한 임의의 점의 움직임은 변위(displacement)라고 하는 벡터량이다. 전단원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응력, 즉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이 정의되었고, 이.와 같은 분류가 변형률에도 적용된다 수직변형률(normal strain)은 그리스 문자 입실론()으로 표기되며, 변형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물체의 크기(임의의 선 요소의 인장이나 수축)變化(변화)를 측정한다. 전단변형률(shearing strain)은 그리스문자 감마()로 표기되며, 변형하는 물체의 형상變化(변화)(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수직인 두 직선들 사이의 각變化(변화))를 측정한다. 적정한 기준좌표계에서 측정한 임의의 점의 움직임은 변위(displacement)라고 하는 벡터량이다.
순서





응력(stress, 단위면적당 힘)이 내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처럼, 변형률(strain, 단위길이당 변형)은 변형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
1-1-4 mean(평균) 축변형률
정량적인 측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변위가 xy 평면에 제한되어 있는 물체를 고려해 보자 그림 1-1 에서 실선은 하중이 작용되기 전의 물체를 나타내며 점선은 하중 작용 후의 변형된 물체를 나타낸다.
1-1-1 변위
Download : 재료역학 - 변형률 해석 정의 및 개.hwp( 33 )
설명
여러 하중들이 구조물이나 기계요소에 작용될 때, 일반적으로 물체의 개개의 점들은 움직인다. 동일 재료이며 동일 단면적을 지닌 봉들이 서로 다른 하중을 받을때 (그림 1-2a) 둘째 봉이 첫째 봉 길이의 반이라면 똑같은 변형을 가질 것이다.
재료역학 - 변형률 해석 定義(정의) 및 槪念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