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국(中國)어 통사구조에 있어서의 어음의 역할의 연구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4:31
본문
Download : 어음의_.hwp
그러나 중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중국어를 말하고 작문할 때 특별히 주의를 하여야 할 문제이다. “肥”와 “胖”은 모두 “살찌다”의 의미이지만,
5. conclusion
1. 서론
어음 통사규칙 어음과화용 / 심소희(1998), 「중국(中國)어의 리듬(Rhythm)단위와 어법구조」, 중국(中國)어문학지 제5집.





3.1. 음절의 의미ingredient의 결합 제한기능
본 연구는 語音 본고는 주로 音節, 重音(stress)과 停頓(pause)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어 동사“渴望”은 목적어가 언제나 動詞性 단어야 한다. 우리는 어떤 문장이 받아들일 수 있는 문장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일반적으로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본다. 예(2)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這個人”과 “肥”의 결합문제이다. 예(2)는 예(1)과는 성질이 좀 다르다. 첫째는 문법적인 관점이고, 둘째는 약정속성의 관점이고, 셋째는 사리상의 ......
3.2. 중음의 중의성 해소기능
3.3. 정돈의 중의성 해소기능
범효호유수(1992), 「유관어법연구삼개평면적기개문제」, 중국(中國)어문.
설명
진녕평(1987), 「현대한어명사류적확대」, 중국(中國)어문, 5기.
현대 중국(中國)어 통사구조에 있어서의 어음의 역할의 연구고찰
최희량(1992), 「인칭대사수식명사시“적”은현문제」, 세계한어교학, 3기.
범효(1996), 삼개평면적어법관, 북경어언학원출판사.
어음 통사규칙 어음과화용 / 심소희(1998), 「중국어의 리듬(Rhythm)단위와 어법구조」, 중국어문학지 제5집. 이현복심소희 편역(1999), 중국어 음성학, 교육과학사. 조봉보저사천울역(1995), 주제재한어중적공능연구, 어문출판사. 진신(1991), 「어음적공능풍격급기응용」, 어문건설, 1기. 진수민(1980),「담쌍음절위보사조급기재구자결구중적분합문제」,기남대학학보,4기 진만화(1995), 「종외국학생적병구간방위사적용법」, 어언교학여연구, 3기. 진녕평(1987), 「현대한어명사류적확대」, 중국어문, 5기. 최희량(1992), 「인칭대사수식명사시“적”은현문제」, 세계한어교학, 3기. 동수방(1998), 「술보대빈어식중적운률제약」, 어언문자학, 9기. 범효(1996), 삼개평면적어법관, 북경어언학원출판사. 범효호유수(1992), 「유관어법연구삼개평면적기개문제」, 중국어문. 반문국엽보청한양(1993), 한어적구사법
2. 어음과 통사규칙의 관계
Download : 어음의_.hwp( 93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2. 어음의 통사관계 변별기능
4.1. 중음의 어기와 초점 표기기능
이현복심소희 편역(1999), 중국(中國)어 음성학, 교육과학사.
다. 특히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어음과 어법의 관계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문제인지 모른다.
진신(1991), 「어음적공능풍격급기응용」, 어문건설, 1기.
조봉보저사천울역(1995), 주제재한어중적공능연구, 어문출판사.
4.2. 정돈의 주제 표기기능
2.3. 어음의 통사위치 제약기능
reference
1.1. 연구의 necessity 과 목적
1.1. 연구의 necessity 과 목적
(1) * 他渴望一個學習的機會. (2) * 這個人很肥. (3) * 小王吃拖拉機.
4. 어음과 화용의 관계
동수방(1998), 「술보대빈어식중적운률제약」, 어언문자학, 9기.
진만화(1995), 「종외국학생적병구간방위사적용법」, 어언교학여연구, 3기.
3. 어음과 의미의 관계
1.2. 연구의 동향
순서
어음 통사규칙 어음과화용
반문국엽보청한양(1993), 한어적구사법
1. 서론
진수민(1980),「담쌍음절위보사조급기재구자결구중적분합문제」,기남대학학보,4기
2.1. 어음의 통사규칙 제약기능
위의 세 예문은 모두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문장들이다. 예(1)은 동사와 목적어의 결합이 잘못된 것이다. 그런데 예(1)은 동사“渴望”의 목적어가 명사“機會”임으로 통사규칙에 맞지 않는 문장이다.이 어법에 미치는 effect을 고찰하여 중국어 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따 어음연구는 어음학에 속하는 것으로 어음 자체의 규칙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어음이 어법에 미치는 effect에 대한 연구는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에서도 그리 많이 이루어진 편은 아니다. 따라서 예(1)은 완전히 어법상의 문제를 지닌 문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