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의 성씨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7 16:25
본문
Download : 우리민족의 성씨제도.hwp
우리민족이 china식 성씨를 수용하여 사용하기 처음 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다. 신라에서는 6세기경부터 왕실에서 성을 사용하기 처음 하였고, 그 이후에는 귀족 상층에서 china식 한자성인 3성과 6성이 점차 사용되었다(백제와 고구려에서는 신라보다 일찍 성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들 성은 후대에 계승되지 못하였다.
당시 성은 출생의 계통을 표시하는 것으로 대체로 부성을 따랐지만, 모성을 따르기도 했고, 심지어 혈연관계가 없는 성을 따르거나, 기존의 성을 바꾸기도 했다(수로왕은 모두 12명의 아들을 두었다고 하는데, 이들 중 10명은 김씨를 계승하여 김해 김씨가 되었다. 또 이 허씨 중의 일부는 훗날 인주 이씨로 개성한다). 모의 성을 따랐다는 사실이 다소 의아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으나, 성이라는 한자어가 ‘女 + 生’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과 오랜 세월 유지되어 온 모계사회의 전통을 생각한다면 이해가 될 것이다. 다른 2명의 아들은 허왕후의 성을 계승하여 허씨가 되었다고 한다.
다.우리민족의성씨제도 , 우리민족의 성씨제도기타레포트 ,




순서
Download : 우리민족의 성씨제도.hwp( 28 )
레포트/기타
설명
,기타,레포트
우리민족의 성씨제도
우리민족의성씨제도
성씨제도에 대해 歷史(역사)적으로 고찰한 내용에 대하여 작성했습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의 성씨는 결국 신라계의 china식 성씨라고 할 수 있다). 성씨가 지방에까지 보급된 것은 신라하대에 이르러서였다. 신라하대의 호족들은 중앙귀…(skip)
성씨제도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한 내용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