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색 크로키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은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2 03:36
본문
Download : 채색 크로키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고.hwp
, 채색 크로키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고서평서평감상 ,
순서
다. 나폴레옹 전쟁 직후 왕당…(투비컨티뉴드 )
,서평,서평감상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고 느낀점을 정리했습니다.
서평감상/서평
Download : 채색 크로키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고.hwp( 42 )
백년전쟁을 다룬 영화에서 프랑스군의 복장은 청색이 주조색이 되고 영국인들은 적색이 주가 된다 한데 과연 당시 실제로 양군의 주조색이 이처럼 명확했을까? 영국과 프랑스 양국이 각각 적색과 청색을 군복의 주조로 삼은 건 17세기 중반 이후의 일이다. 그렇다면 결국 영화에서의 명확한 주조색은, 좀더 먼 시대에 가까운 시대의 상징을 덧댐으로써 알아보기 쉽게 하려는 일종의 관성은 아닐까? 아무래도 전쟁영화에선 일단 피아구별이 명확해야 재미가 있을 테니까.
(프랑스 왕족 카페팅거가 집과 문장색으로 청람색을 선택한 것은 라틴계 국가에서 파랑을 왕의 색으로 상승시키는 데 기여했다.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시길 바라며,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면에 북방 게르만족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그 특권을 계속해서 빨강 및 자주색에 부여했다.
프랑스인들에게도 흰색은 전통적으로 왕의 표지였다. 그때 대왕의 투구가 페르시아군 장교가 휘두른 도끼에 맞아, 왕의 표지인 흰 깃털 장식과 함께 두 조각이 났다고 쓰여 있었다.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시길 바라며,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 - 마가레테 브룬스의 「색의 수수께끼」)
어렸을 때 읽은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전장에서 위기에 몰리는 장면이 있었다.
채색 크로키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은후


설명
「중세의 가을」제18, 19장을 읽은후 느낀점을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