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동화 거위치는 공주에 대한 문체, 구조분석, 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8 13:55
본문
Download : 동화 거위치는 공주에 대한 문체, 구조분석, 감상.hwp
2. 평면성
1) 등장하는 사람과 동물들의 육체에 대한 평면성
`팔라다`라는 말의 목이 잘려 매달려지는 내용에서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고통이 느껴지지 않는다. 동화의 인물들에 대한 성질과 감정들이 단지 줄거리 진행을 위해 필요할 경우, 단순하게 묘사된다 이 동화에서 공주는 온순하고 착한 성질의 소녀인 반면에, 하녀는 마음이 더럽고 추한 소녀…(skip)
동화거위치는공주 , 동화 거위치는 공주에 대한 문체, 구조분석, 감상서평서평감상 ,
다. 저승과 이승의 차원이 뚜렷하지 않고, 오히려 저승의 인물들과 이승의 인물들이 같은 차원에서 자연스럽게 서로 교제한다. 말하는 말인 `팔라다`는 저승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따 그에 반해 공주는 이승의 인물이다.서평감상/서평
설명
,서평,서평감상
순서
동화거위치는공주
Download : 동화 거위치는 공주에 대한 문체, 구조분석, 감상.hwp( 22 )






동화 거위치는 공주에 대한 문체, 구조분석, 감상
Ⅱ. 「거위치는 공주」에 대한 문체分析
1. 일차원성
이 동화 역시 `일차원성`이라는 동화문체의 전형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2) 표면적인 감정
공주는 정신적인 근심에 대해 크게 고민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동화의 주인공인 공주가 극히 자연스럽게 저승의 인물인 말하는 말 `팔라다`와 말을 주고받는다. 또한 동화의 결말에서 하녀가 완전히 발가벗겨져서 날카로운 못이 박힌 통 속에 넣어져 두 마리의 백마에 매달려 죽을 때까지 끌려다니게 되는 형벌을 받을 때의 고통이 느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