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형사소송법상고소의효과로서의고소불가분의원칙.hwp
다.
Download : 형사소송법상고소의효과로서의고소불가분의원칙.hwp( 45 )
형사소송법상 고소의 효과 로서 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 형사소송법상 고소의 효과 로서 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 고소의 효과로서의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법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형사소송법상 고소의 효과 로서 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 고소의 효과로서의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법적 검토
순서
형사소송법상 고소의 효과 로서 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 고소의 효과로서의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법적 검토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② 별개opinion(의견) :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폭행?협박의 점에 대하여만 한정하여 고소를 하였거나 강간죄의 고소가 (고소기간도과 등으로) 법률상 불가능한 상태에서 한 피해자의 고소가 폭행?협박의 점에 상대하여만이라도 처벌을 원하는 취지라고 해석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는 폭행?협박의 점에 대한 소추?처벌이 가능하다.
2. 인정여부(인정취지)
① 고소에 있어서 범죄사실의 신고가 반드시 정확할 수 없고, ② 처벌의 범위까지 고소권자의 자의에 좌우되어서는 안되며, ③ 소송상 1개의 사건은 불가분적으로 취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명문의 규정이 없어도 理論상 당연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따
3. 적용범위
(1) 단순일죄
1) 問題點
단…(省略)
2) 견해의 대립
3) 판례의 태도 (全合. 2002.5.16. 2002도51)
① 다수opinion(의견) : 종래 판례는 무죄판결설의 입장이었으나, 최근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강간죄를 친고죄로 규정한 취지에 반하기 때문에 제327조 제2호의 공소기각판결을 하여야 한다는 입장으로 변경하였다.
(3) 수죄 : 이 경우 불가분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형사소송법상,고소의,효과,로서,의,고소불가분의,원칙,-,고소의,효과로서의,고소불가분의,원칙의,법적,검토,법학행정,레포트
형사소송법상 고소의 효과 로서 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고소의 effect로서의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법적 검토
I. 들어가며
형사소송법상 고소불가분의 원칙이라 함은 고소 또는 고소취소의 효력이 불가분이라는 원칙을 말하는 바, 이러한 원칙은 고소가 소송조건이 되는 친고죄의 고소에 대하여만 적용된다(多). 이러한 고소불가분의 원칙은 理論상 인정되는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과, 주관적 불가분원칙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따(법 제233조)
II.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범죄사실의 불가분)
1. 의의
한 개의 범죄사실의 일부에 대한 고소 또는 그 취소는 그 범죄사실 전부에 대하여 효력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