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정책] 우리 농업의 수맥을 찾아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1 17:20
본문
Download : 우리 농업의 수맥을 찾아서.hwp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우리 농업의 발생과 그 끈질긴 발전의 역싸를 세계사적인 시각에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기 확인 과정을 거쳐 우리 농업이 본래부터 함축하고 있는 농업의 environment(환경) 산업적인 속성 을 복원함으로써, 우리는 농업을 단순히 과거의 산업으로 치부하려는 무책임한 단견들을 극복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는 식량과 곡물의 자급율이 각각 50%대와 20%대라는 상황에 진입해 있다 심지어 주곡의 자급기반을 확보하고 전통 농업을 지속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인 '추곡수매제'까지도 WTO 협정에 묶여 더 이상 영위할 수 없는 봉착하였다.
농업,수맥,농업정책,자연과학,레포트
1. 한국농업은 어디로, 2. 분노한 농민들의 목소리, 3. 한·칠레자유무역협정과 중국(China)의 WTO 가입, 4. 남과 북의 쌀 위기, 살길은 있는가?, 5. 선진국형의 농업정책을 향하여 , filesize : 52K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Download : 우리 농업의 수맥을 찾아서.hwp( 92 )
[농업정책] 우리 농업의 수맥을 찾아서
순서
1. 한국농업은 어디로, 2. 분노한 농민들의 목소리, 3. 한·칠레자유무역협정과 중국의 WTO 가입, 4. 남과 북의 쌀 위기, 살길은 있는가?, 5. 선진국형의 농업정책을 향하여 , FileSize : 52K , [농업정책] 우리 농업의 수맥을 찾아서자연과학레포트 , 농업 수맥 농업정책
다. '우루과이 라운드' 이후 한국농업은 어디로 가야할 것인가? 이에 답하려면 '우리에게 농업은 과연 무엇인가'를 차분히 되돌아볼 수 있는 슬기를 되찾아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