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0 03:43
본문
Download :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hwp
이렇듯 영업소유자가 가지는 영업이윤이 임대화 하는 것을 물권의 채권화 경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영업소유와 영업경영이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hwp( 16 )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 ,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경영경제레포트 , 영업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
순서
영업의 임대차와 경영위임 관련 법적 검토
1. 영업의 임대차
1) 개요
영업 임대차의 의의 영업의 임대차는 영업소유의 법적 관계에 影響을 주지 않고, 영업경영이 법적 관계가 전면적으로 임대인에게 이전하는 법현상이다.② 이러한 영업위임계약에서는 수임인이 위임인에 대하여 일정한 보수를 지급하거나 일정비율의 배당보증을 하게 되므로 영업의 임대차와 아주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영업의 임대차의 경우와 같이 법률관계를 처리하여야 할 것이다.
② 물적회사의 경우 내부절차로서 주식총회의 특별결의를 요하는 점 등은 영업위임계약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영업의 임대인은 영업권 행사의 주체, 영업활동에 의한 권리의무의 귀속자 및 영업이윤의 제1차적 귀속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하게 된다 이 경우 임대인이 영업활동에 의한 제1차적 권리의무의 귀속자이므로 상인자격을 갖게 된다 한편 임대인은 여전히 영업소유자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지만, 그는 영업이윤의 제1차적 귀속자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오로지 약정된 임대료를 취득하는데 불과하다.
영업,임대차와,경영위임,관련,법적,검토,경영경제,레포트
다. 영업관리계약은 순수한 경영위임계약으로서 이 경우에 수임인은 영업활동에 대하여 위임인 으로부터 일정한 보수를 받는다. 따라서 이는 민법상 위임계약이므로, 이에 영업양도에 관한 상법의 규정이 유추 적용될 여지가 없다. 즉 임대차의 경우에는 영업활동에 의한 권리의무의 귀속자로서의 지위를 임대인이 가지나, 경영위임의 경우에는 이의 지위를 여전히 위임인 가지고 있는 위임인은 경영권 행사의 주체로서 이것을 대리 행사하는데 불과하다. 그러나 이 경우 위임인이 상인자격을 갖고 그 영업활동에 의한 모든 권리의무는 위임인에게 귀속되므로, 위임은은 수임인에 대하여 광범위한 영업의 영업상의 대리권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영업의 위임인은 임대인과 같이 위임계약기간 중에는 경업피지 의무를 부담한다고 본다. 이러한 경영위임을 협의의 경영위임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