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련된 요소와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1 13:25
본문
Download :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hwp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125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CVA%EC%9D%98balance%EC%99%80%20%EA%B4%80-1256_01.jpg)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125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CVA%EC%9D%98balance%EC%99%80%20%EA%B4%80-1256_02_.jpg)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125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CVA%EC%9D%98balance%EC%99%80%20%EA%B4%80-1256_03_.jpg)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125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CVA%EC%9D%98balance%EC%99%80%20%EA%B4%80-1256_04_.jpg)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125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87%8C%EC%86%90%EC%83%81%5D%20CVA%EC%9D%98balance%EC%99%80%20%EA%B4%80-1256_05_.jpg)
※고유수용성 감각계 장애 증상
뇌손상,CVA의balance
②근육의 저항없는 활동은 눈의 건측 편위를 도모한다
레포트 > 의학계열
설명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이란 우리가 의식하지 않은 채 몸이 움직이는 것, 자세나 운동 상태, 근육이 수축한 정도를 감지하여 신체부위, 동작범위와 속도를 조절하는 감각입니다. (예 ; 앞으로 걸어갈 때 ‘왼쪽 발을 딛고 또 오른쪽 발을 내딛어야지’ 생각하지 않고 저절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날아오는 공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름)
1.proprioceptive소실-연합된 손상:motorpower, postual function, 무능력의 전반적인 수준
6.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
①눈운동을 조절하는 근육이 침해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련된 요소와 특징
Download : [뇌손상] CVA의balance와 관.hwp( 86 )
순서
④뇌간병변:편마비측을 바라본다
감각은 자주 손상 받으나 편마비측에서 없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결함의 정도 종류는
2.표재성 촉각, pain, temperature sensation 소실-전반적인 지각의 기능부전과 self-injury의 위험이 생긴다
혈관 병변의 위치와 정도에 관련이 깊다
쓰기, 숟가락 사용하기, 컵으로 물 마시기, 단추 잠그기와 같이 작은 물체를 조작하는 손 동작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다.
새로운 동작을 모방할 때, 손과 발을 어떻게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구부리고 펴야 하는가를 판단해서 동작을 모방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계단, 턱, 장애물에 대한 적절한 대처능력 부족)
- 동작이 둔합니다.
감각은 자주 손상 받으나 편마비측에서 없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결함의 정도 종류는 혈관 병변의 위치와 정도에 관련이 깊다 1.proprioceptive소실-연합된 손상:motorpower, postual function, 무능력의 전반적인 수준 2.표재성 촉각, pain, temperature sensation 소실-전반적인 지각의 기능부전과 self-injury의 위험이 생긴다
③대뇌반구 병변:편마비측 으로부터 멀리 바라본다
몸을 구부리거나, 앉거나, 옆으로 기울기, 계단 오르기 등을 할 때 관절이나 근육을 각 자세에 맞게 조절하여 넘어지지 않고 동작을 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합니다. )
- 잘 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