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0:20
본문
Download :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hwp
1.Introduction
프랑스의 화학자 라울(Raoult)은 몇몇 용액들의 경우 몰 분율에 대한 용매의 증기압력의 구성이 직선에 가까워 지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직선 관계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식을 만들었다. 뷰렛(+스톱콕크), 10mL 바이알, 온도계, 10mL 피펫, 비이커, 플라스크, poly glove
2)스톱콕크를 이용하여 비이커 속의 용액이 분홍색이 될 때까지 잘 흔들어주며 적정한다.
Download :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hwp( 15 )
4)가해준 NaOH의 부피를 기록한다.
순서
Material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1.Introduction 프랑스의 화학자 라울(Raoult)은 몇몇 용액들의 경우 몰 분율에 대한 용매의 증기압력의 구성이 직선에 가까워 지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직선 관계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식을 만들었다.
experiment(실험) 1.
(:용매의 증기압력 :용액에서 의 몰분율 :순수한 용매 의 증기압력)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3)스톱콕크를 이용하여 비이커 속의 용액이 분홍색이 될 때까지 잘 흔들어주며 적정한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Methods
2.Experimental
1)뷰렛속에 농도를 모르는 NaOH용액을 넣고 뷰렛 아래에는 50mM KHP 5mL와 페놀프탈레인 1~2방울을 넣은 용액이 들어있는 비이커를 장치한다. 이상용액은 용질도 용매와 마찬가지로 라울의 법칙을 따른다.
experiment(실험)1. NaOH용액의 표준화
설명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3.Data&Analysis ->experiment(실험)실 온도 19℃, 바이알 속의 기체의 압력은 1atm이라 가정
프랑스의 화학자 라울(Raoult)은 몇몇 용액들의 경우 몰 분율에 대한 용매의 증기압력의 구성이 직선에 가까워 지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직선 관계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식을 만들었다. 하지만 헨리(Henry)는 농도가 낮은 비이상용액의 경우 이긴 하지만 그 비례상수가 가 아님을 발견하고 새로운 비례상수 를 도입했는데 이를 헨리상수라 하고 를 헨리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 때 너무 세게 흔들면 수용액 속의 가 튀어나오거나 기체가 바이알에서 빠져나올 수도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흔들어준다.
이를 라울의 법칙(Raoult`s Law)이라 하며 라울의 법칙을 따르는 용액을 이상용액이라 부른다.
드라이아이스, 페놀프탈레인, KHP(Potassium hydrogen phthalate)용액(50mM), NaOH
3)가해준 NaOH의 부피를 기록한다.
다.
1)바이알에 증류수 5mL와 페놀프탈레인 1~2방울을 넣고 드라이아이스를 잘게 부수어 한조각을 넣는다.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헨리상수
1.Introduction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헨리의 법칙을 단위를 재밸열하여 해석해보면 분압 인 기체가 녹아서 몰농도 인 용액을 만든다는 관점에서 용해도이라고 할 수 있고 이번 experiment(실험)에서는 지시약과 중화反應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를 최대한 정확히 구해보는 것이 주 목적이다.
experiment(실험)2.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측정(測定)
2)드라이아이스가 다 녹고나면 뷰렛 밑에 놓고 적정을 스타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