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ble Air Volume System[VAV에 대하여]pp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3:26
본문
Download : Variable Air Volume.pptx
교축형은 유닛을 통과하는 풍량이 실내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덕트 내의 정압이 變化(변화)하는 형태로, 댐퍼형(damper type)과 벤츄리형(venturi type, spring 내장)이 있다아
2. VAV 원리
2. VAV 운전
1. conclusion(결론) 및 고찰
VAV(Variable Air Volume)유닛의 종류는 풍량제어 방식에 따라 교축형(throttle type), 바이패스(by-pass type), 유인형(insuction type)으로 대별되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VAV 유닛은 거의 교축형인데, 교축형에는 벤튜리형(venturi type)과 댐퍼형(damper type)이 있다
Variable Air Volume System[VAV에 대하여]ppt
1. 부하변동에 따른 순간적 대응으로 쾌적성 향상.
1. VAV 유닛 종류
순서





설명
4. VAV 제어 improvement(개선) 방안(方案)
다.
에 따른 제습량 감소로 재열의 necessity 이 있음.
2. 부분 부하시 송풍량 감소로 동력비 절감 및 에너지 절감.
3. 동시 부하율을 고려하여 기기 용량을 작게 할수 있다아
Download : Variable Air Volume.pptx( 70 )
Variable Air Volume System,VAV,가변풍량,정풍량,CAV
▣ V.A.V. 시스템의 단점
Ⅰ. 서론 1. VAV 개요 2. VAV 원리 3. VAV 장,단점 Ⅱ. 본론 1. VAV 유닛 종류 2. VAV 운전 3. VAV 제어 4. VAV 제어 개선 방안 5. VAV 적용 시 고려사항 Ⅲ. 결론 1. 결론 및 고찰
▣ V.A.V. 시스템의 advantage(장점)
2. 지하층 및 습도조건이 까다로운 곳에 설치 시 급기량 감소.
5. VAV 적용 시 고려사항
Ⅲ. conclusion(결론)
Ⅱ. 본론
3. VAV 제어
1. 최소 풍량에도 최소 필요 외기 도입량이 확보 되어야 함.
3. VAV 장,단점
1. VAV 개요
3. 냉풍, 저 풍량시 결로가 발생 가능성이 있음.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Ⅰ. 서론
가변 풍량 방식이란 VAV 방식을 말하며, 정풍량 방식(CAV식)이 송풍 온도를 變化(변화) 시켜서 부하 변동에 대처하는데 반해, 가변 풍량 방식(VAV방식)은 공조해야 할 Area의 열부하 증감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여 소정이 온·습도를 유지시키는 공조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