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7 03:40
본문
Download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hwp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현실과 문제점을 찾고 교육을 통해 정체성 회복을 위한 대책등을 작성한 글입니다. 우리의 용어(말) 하나는 교단의 모습을 담는 중요한 수단이며, 교단이 일반 대중에게 제대로 다가가는 중요한 매개이다. 중앙총부 구내를 거닐다 보면 학림사 앞 정원에 ꡐ창교정신...ꡑ이라는 돌이 새겨진 문구를 발견하게 된다 정전에 ꡐ개교ꡑ라는 용어가 있음에도 굳이 ꡐ창교ꡑ라는 말을 사용한데는 나름대로 더 적실한 의미를 담으려는 뜻이 있었을 것이나 별 차이가 아니면 ꡐ개교ꡑ라는 용어를 써서 우리의 모습을 일관되게 표현했으면 하는 생각이다.
에리히 프롬에 의하면 우리가 어떤 일을 경험…(투비컨티뉴드 )
한국의정체성과교육의방향
다.
설명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현실과 문제점을 찾고 교육을 통해 정체성 회복을 위한 방안등을 작성한 글입니다.한국의정체성과교육의방향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Download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hwp( 98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






얼마전 우리나라 교육행정 책임자가 자주 쓰는 ꡐ창발성ꡑ이란 용어는 북한의 법률 및 일상 용어라며 우리 교육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일이 되기 때문에 이 용어의 사용을 중단하자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항의를 받은 일이 있다
ꡐ창발ꡑ이 ꡐ창의ꡑ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해도 왠지 우리 정서에는 낯이 설다.
비슷한 용어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그렇고 ꡐ創ꡑ이 아닌 ꡐ開ꡑ를 선택하신 교조의 본의를 계승하기 위해서도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