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의료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9 03:36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의료사업.hwp
세종 6년(1424)에는 질병을 치료하는 기관으로 구병실을 설치하여 병자를 구휼하였다.
또 `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 26년(1444)에 국왕은 한성부에 전지(傳旨)를 내려 기민을 한곳에 많이 수용하여 시식케 하면 질병이 발생, 전염하여 사망하는 일이 많을 것이니 동서활인원과 각 진제장(脈齋場)에 분산하여 극진히 진제하고 혹 병든 사람이 있으면 타인에게 접근치 않도록 한 성부와 5부
조선시대의 의료사업
다.
조선시대의 의료사업
순서






조선시대,의료사업,의약보건,레포트
조선시대의 의료사업 , 조선시대의 의료사업의약보건레포트 , 조선시대 의료사업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조선시대의 의료사업.hwp( 41 )
조선시대의 의료사업
고려시대는 불교의 influence(영향)을 받아 대비원, 제위실 및 혜민국을 설치하여 빈민의 질병을 치료하고 약물 및 의류 등을 급여하였다. 조선시대의 의료제도로는 태조 원년(1392) 궁내 의료를 담당하는 전의감과 일반 백성의 의료기관인 혜민서 및 동서대비원 등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일은 주로 승려들이 맡아 하였다. 태조 6년(1397)에는 제생원이 별도로 설치되어 (1) 의방(醫方)의 조사 및 수집. (2) 의학 서적 간행, (3) 약물의 조사 및 채집, (4) 여의 양성 등에 주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