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1 05:25
본문
Download : [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hwp
③goal(목표)
행동이 아닌 것은 무시한다.
설명
[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
레포트/공학기술
[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 , [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공학기술레포트 , [사범 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
Download : [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hwp( 63 )
[사범,교육],교육공학의,심리적,기초,공학기술,레포트
[사범,교육] 교육공학의 심리적 기초
순서
![[사범,교육]%20교육공학의%20심리적%20기초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B%B2%94,%EA%B5%90%EC%9C%A1%5D%20%EA%B5%90%EC%9C%A1%EA%B3%B5%ED%95%99%EC%9D%98%20%EC%8B%AC%EB%A6%AC%EC%A0%81%20%EA%B8%B0%EC%B4%88_hwp_01.gif)
![[사범,교육]%20교육공학의%20심리적%20기초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B%B2%94,%EA%B5%90%EC%9C%A1%5D%20%EA%B5%90%EC%9C%A1%EA%B3%B5%ED%95%99%EC%9D%98%20%EC%8B%AC%EB%A6%AC%EC%A0%81%20%EA%B8%B0%EC%B4%88_hwp_02.gif)
![[사범,교육]%20교육공학의%20심리적%20기초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B%B2%94,%EA%B5%90%EC%9C%A1%5D%20%EA%B5%90%EC%9C%A1%EA%B3%B5%ED%95%99%EC%9D%98%20%EC%8B%AC%EB%A6%AC%EC%A0%81%20%EA%B8%B0%EC%B4%88_hwp_03.gif)
![[사범,교육]%20교육공학의%20심리적%20기초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B%B2%94,%EA%B5%90%EC%9C%A1%5D%20%EA%B5%90%EC%9C%A1%EA%B3%B5%ED%95%99%EC%9D%98%20%EC%8B%AC%EB%A6%AC%EC%A0%81%20%EA%B8%B0%EC%B4%88_hwp_04.gif)
![[사범,교육]%20교육공학의%20심리적%20기초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B%B2%94,%EA%B5%90%EC%9C%A1%5D%20%EA%B5%90%EC%9C%A1%EA%B3%B5%ED%95%99%EC%9D%98%20%EC%8B%AC%EB%A6%AC%EC%A0%81%20%EA%B8%B0%EC%B4%88_hwp_05.gif)
교육工學의 심리적 기초
1. 행동주의 학습theory(이론)과 교수설계
1) 고전적 조건화
파블로프의 실험은 학습은 학습자가 자극과 reaction(반응)을 연결함으로써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했다.2) 시행 착오설
손다이크의 theory(이론)에서 학습은 시행과 착오의 과정을 통해 특정한 자극과 reaction(반응)이 결합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그것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수반했을 때는 그 결합의 강도가 증가하고, 불쾌한 결과를 수반했을 때는 그 결합의 강도는 감소한다고 주장했다.④원하는 행동이 일어났을 때 강화를 제공한다.
다.
②언제,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하지 않아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3) 조작적 조건화
가. 스키너의 theory(이론)은 또한 강화 theory(이론)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어떤 행동은 그 행동이 일어난 이후에 제공되는 강화물의 유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된다고 설명(explanation)하기 때문일것이다나. 스키너는 선택적 강화를 사용하여 행동을 통제하고자 하는 것을 행동수정이라 명명했다
행동 수정이란 goal(목표) 하는 행동을 선택…(省略)①원하는 행동을 설정한다. 수업 계열
라. 수업 평가
1) 초기의 인지 주의적 접근 : 형태주의 심리학
2) 정보 처리 theory(이론)
3) 인지주의 학습 원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