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사회과학][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hwp
③ 광고지를 만들어 본다.
① 동화를 듣고 동화 속에 나온 단어를 기억할 수 있따
② 글자에 관심을 가진다.
[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
만 5세아를 대상으로 들려줄 동화 한편을 선정하고, 동화 내용으로 언어 학습(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각 영역에 맞는 활동명과 활동지도 방법을 작성해 보시오.
활동지도방법 (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넣어 작성한다.
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신 있게 이야기 할 수 있따
② 할머니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글
[사회과학][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
순서
[사회과학][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
[사회과학][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 , [사회과학][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언어지도 문학적 접근 언어교육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사회과학][언어지도] 문학적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hwp( 43 )
사회과학,언어지도,문학적,접근,언어교육,인문사회,레포트
다.
①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서 나온 단어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② 호랑이에 대한 저널을 쓴다.
▶ 줄 거 리
어느 여름날, 밭을 매던 할머니는 갑자기 나타난 큰 호랑이에게 내기를 하자는 말을 듣는다…(투비컨티뉴드
)
① 자신의 경험을 바르게 이야기할 수 있따
② 이야기를 정확하게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따
③ 동화를 통해 옛 물건의 쓰임새를 알 수 있따
④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따
⑤ 동화의 내용을 기억하여 말할 수 있따
⑥ 책의 표지, 삽화, 출판사 등의 관념을 이해할 수 있따
① 그림책을 들려주기 전에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팥죽을 먹은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② 옛날물건의 그림을 그리거나 신문에서 찾아 붙이고, 물건의 이름을 쓴다.
① 동화를 주의 깊게 듣고 내용을 기억하여 말할 수 있따
② 동화책에서 나온 옛날물건의 이름과 특징을 알 수 있따
①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서 나온 옛날물건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③ 교사가 그림책을 들려준다.
⑤ 교사가 그림책의 그림만 보여주고 유아는 내용을 회상하며 그림을 본다.
①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인 팥죽의 자랑스러움을 이야기할 수 있따
② 여러 가지 광고지를 탐색한 후 광고를 만들 수 있따
① 여러 가지 광고지를 보여주고 탐색하도록 한다.
② ‘팥죽’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①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할 수 있따
② 이야기를 할 때와 들을 때의 바른 태도를 익힐 수 있따
③ 동화를 듣고 호랑이에 대한 저널을 쓸 수 있따
①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 등장하는 호랑이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③ 유아들이 만든 것을 모아 그림사전을 만든다.
①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 나오는 인물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③ 등장인물에게 나의 생각이나 나의 마음을 전한다.
③ 팥죽을 광고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③ 유아들의 저널을 전시 및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② 편지를 쓰고 싶은 인물을 정한다.
② 단어에 해당하는 그림을 그린 후, 글자를 써서 내단어책을 만든다.)
이 책은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분위기가 돋보이며 이야기가 명쾌하다.
② 자신의 생각을 그림과 글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안다.
③ 편지지에 등장인물에게 보낼 그림 또는 글을 표현해 본다.
③ 책 표지에 책title proper(제목)과 이름을 쓴다.
이야기뿐만 아니라 이 그림책의 그림에서는 등장인물의 풍부한 표정도 감상할 수 있으며 그림이 뚜렷하여 유아의 시선을 끈다.
② 그림책 표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야기 나눈다.
④ 등장인물에게 쓴 편지를 발표 및 전시를 한다.
④ 그림책의 내용을 회상하며 이야기 나눈다.
① 편지의 기능을 이해한다.
이야기의 내용은 간결하고 기, 승, 전, 결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으며 의성어, 의태어가 많이 표현되어 있어 우리말의 풍부함과 리듬감을 느낄 수 있따 그리고 책 속에 등장하는 절구, 멍석, 지게 등은 요즘 보기 힘든 물건들로써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또한, 힘없는 약자들이 힘을 모아 지혜를 써서 강자를 물리치는 모습이 흥미진진하여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며 협동의 중요성도 나타나 유아로 하여금 협동심을 기를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