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한반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4 12:45
본문
Download : 북한과 한반도.hwp
설명
북한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方案)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그러나 탈냉전 시대의 도래 등 대내외적 환경變化와 이로 인한 3대혁명역량의…(투비컨티뉴드 )
(2) 대외정책의 기본방향
북한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순서
북한과 한반도
북한과한반도정치[1]
레포트/법학행정
1. 북한의 대외정책
(1) 대외정책의 目標(목표)
한 나라의 대외정책의 目標(목표)는 국가目標(목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바, 과거 냉전기 북한의 외교 目標(목표)는 당규약과 구 사회주의 헌법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요점될 수 있다 첫째, 최소目標(목표)로서 현존 북한체제의 유지 및 발전이며 둘째, 최대目標(목표)로서 한반도 공산화 통일과 전 세계 공산화 달성이다.그리고 북한은 이와 같은 외교目標(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책략노선으로서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역량 강화, 남조선 혁명역량 강화, 국제혁명역량과의 단결, 강화 등 ‘3대혁명역량 강화노선’을 채택하였다.북한과한반도정치[1] , 북한과 한반도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북한과 한반도.hwp( 26 )
다. 이와 같이 냉전시기의 북한은 ‘혁명’과 ‘해방’을 완수하는데 대외정책의 目標(목표)를 두고 있었다. 한편 김일성은 최고인민회의 제8기 1차 회의 시정연설을 통하여 “조선혁명은 세계혁명의 한 부분이며, 사회주의의 완전승리와 조국통일의 역싸적 위업을 앞당겨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제혁명역량과의 연대성을 강화하고 우리 혁명에 유리한 국제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대외정책의 주요과업임을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