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면역Engineering - p53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30 07:19
본문
Download : [공학] 면역공학 - p53에 대해서.hwp
1979년 프린스톤 대학의 레빈박사, 던디 대학의 레인박사, 슬로윈 캐터링 암센터의 스코틀랜드박사와 올드박사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뇌종양 세포에 p53 세포를 넣으면 혈관을 만드는 단백질인 bFGF의 활성이 둔해지면서 암세포 성장이 멈춘다는 것이다. p53이 암을 억제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녔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고장난 p53만 수리하면 암 환자가 치료될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온 세계가…(투비컨티뉴드 )
2. p53의 기능 및 구조적 characteristic(특성)
3. p53의 기능
1) cell cycle 조절
순서
[공학],면역공학,-,p53에,대해서,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공학] 면역공학 - p53에 대해서.hwp( 59 )
[Engineering] 면역Engineering - p53에 대해서
설명
![[공학]%20면역공학%20-%20%20p53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A9%B4%EC%97%AD%EA%B3%B5%ED%95%99%20-%20%20p53%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공학]%20면역공학%20-%20%20p53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A9%B4%EC%97%AD%EA%B3%B5%ED%95%99%20-%20%20p53%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공학]%20면역공학%20-%20%20p53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A9%B4%EC%97%AD%EA%B3%B5%ED%95%99%20-%20%20p53%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공학]%20면역공학%20-%20%20p53에%20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A9%B4%EC%97%AD%EA%B3%B5%ED%95%99%20-%20%20p53%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공학]%20면역공학%20-%20%20p53에%20대해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A9%B4%EC%97%AD%EA%B3%B5%ED%95%99%20-%20%20p53%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5.gif)
![[공학]%20면역공학%20-%20%20p53에%20대해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A9%B4%EC%97%AD%EA%B3%B5%ED%95%99%20-%20%20p53%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6.gif)
레포트/공학기술
[공학] 면역공학 - p53에 대해서 , [공학] 면역공학 - p53에 대해서공학기술레포트 , [공학] 면역공학 - p53에 대해서
[Engineering] 면역Engineering - p53에 대해서
다. 당시에는 변이된 p53유전자를 연구하였기 때문에 발암유전자로 알려져 있었다. 이 논문은 p53을 일약 스타로 만들었다.
23개 염색체중 17번째에 들어있는 유전자인 p53이 암 환자에게서는 유독 손상된 형태로 나타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암 발생과 어떤 종류의 관계가 있지 않겠느냐는 막연한 추측이 제기되었다.
1989년에 존스홉킨스 대학의 파트 포겔슈타인 교수에 의해 악성 뇌종양과 p53의 관계 라는 논문이 발표되면서 p53의 이름이 알려지기 처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