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가론]김만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4 09:21
본문
Download : [고전작가론]김만중.hwp
Download : [고전작가론]김만중.hwp( 13 )
![[고전작가론]김만중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A0%EC%A0%84%EC%9E%91%EA%B0%80%EB%A1%A0%5D%EA%B9%80%EB%A7%8C%EC%A4%91_hwp_01.gif)
![[고전작가론]김만중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A0%EC%A0%84%EC%9E%91%EA%B0%80%EB%A1%A0%5D%EA%B9%80%EB%A7%8C%EC%A4%91_hwp_02.gif)
![[고전작가론]김만중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A0%EC%A0%84%EC%9E%91%EA%B0%80%EB%A1%A0%5D%EA%B9%80%EB%A7%8C%EC%A4%91_hwp_03.gif)
![[고전작가론]김만중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A0%EC%A0%84%EC%9E%91%EA%B0%80%EB%A1%A0%5D%EA%B9%80%EB%A7%8C%EC%A4%91_hwp_04.gif)
![[고전작가론]김만중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A0%EC%A0%84%EC%9E%91%EA%B0%80%EB%A1%A0%5D%EA%B9%80%EB%A7%8C%EC%A4%91_hwp_05.gif)
![[고전작가론]김만중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A0%EC%A0%84%EC%9E%91%EA%B0%80%EB%A1%A0%5D%EA%B9%80%EB%A7%8C%EC%A4%91_hwp_06.gif)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고전작가론]김만중 , [고전작가론]김만중인문사회레포트 , [고전작가론]김만중
[고전작가론]김만중
[고전작가론]김만중
[고전작가론]김만중,인문사회,레포트
설명
- 서포 김만중 -
(西浦 金萬重)
이념의 수호와
alteration(변화) 의 방향을 모색한 사대부
1. 서론
2. 본론
(1) 김만중의 생애
(2) 시대적 배경
- 정치적 배경- 사회적 배경
(3) 사상적 측면
- 학문적 성향- 정치적 성향
(4) 작품의 이해
- 구운몽, 사씨남정기, 서포만필(5) 김만중의 내면적 위치
- 유교적 가치관에 의한 민중교화- 근본적 변혁에 못 미치는 사대부의 입장
3. 結論
4. 참고 문헌
1. 서론한국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 1637~1692)의 입지는 굳게 자리 잡고 있기에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연구가 이어졌다. 또한 그의 …(To be continued )
(1) 김만중의 생애
다. 현재 교육과definition 지침에 따라 최초의 한글소설로 일컬어지는 허균의 [홍길동전]을 뒤이은 한글소설인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집필한 서포의 공로는 빼놓을 수 없는 유산이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고전소설 중 이본의 수량을 가려보았을 때,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그의 작품들은 본격적인 한글소설의 시대를 열었다고 단언할 수 있겠다.